산업 >

뒤늦게 띄운 ‘드론 육성책’

정부, 3년간 5천억 투자.. 규제에 묶여 있던 드론산업
미국.중국이 시장 선점하자.. 뒤늦게 미래 먹거리로 육성

정부가 6일 자율비행 로봇(드론.무인기)을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육성한다면서 향후 3년간 민관합동 으로 500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하지만 이미 미국과 독일, 중국 등이 드론 시장을 상당수 선점한 상황이라는 점에서 뒤늦은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또 각 부처.지자체의 드론 육성정책을 총괄하기보다는 또 하나의 개별정책 성격이 강하다는 점을 근거로 불필요한 경쟁 우려도 제기된다. 교통정리를 해줄 컨트롤타워 역할도 아직 없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6일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에서 드론 관련 기업, 학계, KARI,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등과 '드론산업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산업부의 계획은 현재 1억5000만달러 규모에 불과한 국내 드론시장을 2020년 10억달러, 2025년 30억달러까지 확대하고 연관서비스 시장의 문을 연다는 것이 골자다. 이를 위해 에너지시설 관리, 산불감시 등 당장 활용할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3년간 2000억원 이상의 공공수요 초기시장을 창출한다. 고기능 드론 기술개발에는 2019년까지 민관합동으로 500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장시간 비행, 악천후 극복, 충돌회피와 같은 핵심기술은 군, 출연연이 보유한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거나 산학연 융합연구 방식으로 개발한다.

드론 융합 얼라이언스 구성, 신산업 연구개발(R&D) 투자세액 공제대상에 드론 포함, 드론 전문인력 연간 석박사급 50명.학사급 250명 양성 등도 계획에 담았다.

그러나 드론시장을 향한 각국의 움직임이 이미 활발히 진행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뒤늦은 육성'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실제 미국 아마존닷컴은 영국 등 각국에 물류드론 개발거점을 설치했고, 독일의 국제특송회사인 DHL은 의료품 등을 원거리 섬에 드론으로 수송하는 시험에 착수했다.
중국의 드론 제조업체인 DJI는 민간 드론시장을 상당부분 장악하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에 힘입어 세계 무인기 시장은 해마다 11%씩 증가하고 있으며 오는 2023년에는 16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 상태다. 산업부는 "취미용 시장에서는 늦었지만 유망분야인 고기능 상업용 분야에서는 우리가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업계도 과감하게 투자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라며 "아직 절대강자가 없는 신시장 분야는 누가 발 빠르게 시장을 개척하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