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한·미 6자회담 수석대표, 中 사드보복 완화·대북정책 논의

中의 대북압박 견인 등 양국 의견 모아졌으나 美 정책 발표 늦춰질 듯

미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조셉 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우리 측 수석대표인 김홍균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22일 한·미 고위급 회담의 바통을 이어 받았다.

양측은 미국 대북정책의 핵심 축인 중국의 대북압박 견인을 집중적으로 살폈다.

특히 윤 대표는 최근 중국 측 대표인 우다웨이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만나 북한과의 불법활동에 연루된 중국 기업을 제재하겠다는 일종의 세컨더리보이콧 방침을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트럼프표' 대북정책은 다만 부장관, 동아태 차관보 등 국무부내 한반도 정책을 담당하는 주요 보직이 정해지지 않아 발표가 다소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 대표는 이날 외교부 청사에서 김 본부장과 협의에 앞서 모두발언을 통해 틸러슨 장관의 방중 메시지를 소개했다.

윤 대표는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조치와 관련, 틸러슨 장관이 사드는 방어시스템이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방어시스템에 대해 보복하는 것은 우려를 키우는 일"이라는 입장을 중국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한.미 6자회담 수석대표 간 이번 회동에서 윤 대표는 김 본부장에게 최근의 방중 결과를 설명했다.

회동에 함께 배석한 외교부 당국자는 "틸러슨 장관이 대북제재에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전하면서 북한과의 불법활동에 연루된 중국 기업가를 제재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전달했다고 윤 대표가 소개했다"고 말했다.

중국이 대북제재에 동참하지 않으면 경제적 타격 카드로 응수하겠다는 미국의 방침을 시사한 것이다.

중국 측도 북한이 도발을 이어가는 지금 국면에서는 북한과 대화할 때가 아니라는 점을 인정했다고 당국자는 전했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 때 논의된 북한 해외노동자 송출 제재 등 북한 정권의 돈줄을 조이는 방법에 대한 이행방안도 두 대표는 다뤘다.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해 현재 북한 노동자를 받고 있는 중동과 동남아 국가들을 상대로 이들을 받지 않도록 하는 한·미 공조 방안이 논의됐다.


다만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트럼프표 대북정책의 윤곽이 결정됐지만 '결재'할 사람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 지적된다. 당초 이달 말께 발표될 예정이던 미 대북정책이 늦춰질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다.

외교부 한 당국자는 "정책발표 시점이 중요하지는 않다"면서 "정책 조율과정에 우리가 핵심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것이 의미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