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4차산업 시대, 황창규식 혁신이 답이다

관련종목▶

빅데이터로 감염병 차단.. G20 공동성명 포함 '개가'

KT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확산 방지 프로젝트가 독일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 반영됐다. 8일(현지시간) 폐막한 G20 공동선언문에는 '인간의 대규모 이동이 공중보건에 위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기업의 프로젝트를 G20이 수용한 것은 이례적이다. 그만큼 인류의 재앙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얘기다.

메르스 등 각종 감염병 확산은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실제 '미래를 위한 세계 건강위협 프레임워크위원회(GHRF)'는 지난해 "잠재적인 감염병 위협이 전 세계에서 연평균 600억달러가 넘는 경제적 손실을 끼친다"고 추산했다.

황창규 KT 회장은 작년 6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회의에서 이 프로젝트를 처음 제안했다. 그는 "전 세계 이동전화 이용자 73억명의 해외 로밍 정보를 분석하면 감염병 전파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며 세계 800여 통신사들의 프로젝트 참여를 촉구했다. 지난 5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G20 기업인회의(B20 서밋) 때는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도 맞장구를 쳤다.

해외에선 이미 IBM, 구글 딥마인드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의료분야 4차 산업혁명에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은 규제개혁과 제도개선, 인센티브 제공 등 지원책을 내놓고, 산업계는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공격적인 기술투자와 자본을 쏟아붓는다.

하지만 국내 현실은 어둡다. 한국은 세계에서 알아주는 인터넷 환경을 갖추고도 이를 활용하지 못한다. IT에 금융, 의료, 교육 등 서비스산업을 접목하면 더 많은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만들 수 있지만 낡은 규제의 틀에 갇혀 한 걸음도 못 나간다. 디지털 헬스케어의 토대인 의료법개정안, 건강관리서비스법 등은 수년째 국회에서 발이 묶이면서 막대한 예산이 드는 시범사업만 반복한다.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기술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4년이나 뒤처진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KT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것은 한 줄기 빛이다. 여기에는 황창규 KT 회장의 혁신 DNA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자칫 국내 기술로 묻힐 수도 있었지만 이 기술의 가치를 알아본 것이다. 작년 6월 UNGC 회의에서 황 회장의 제안은 '황의 법칙' 이후 14년 만이다. 당시 황 회장 연설 주제는 '한계가 없는 세상'이었다.
4차 산업혁명은 한계도 없고 경계도 없다. 사람과 사람, 사물과 사람, 사물과 사물이 연결되는 세상이다. 세상은 이렇게 변하는데 정치만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