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한-러 정상회담] 늦어지는 한·중 정상 통화… 사드 영향?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정상통화가 늦어지고 있다. 북한이 지난 3일 6차 핵실험을 강행한 직후 문 대통령의 지시로 중국과 접촉했으나 사흘이 지나도록 응답을 받지 못한 것이다.

한반도 정세가 긴박한 상황에서도 양 정상 간 통화가 불발된 게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 탓이라는 분석이 제기되는 가운데 정부가 7일 사드 발사대 4기를 추가 배치하기로 최종 결정하면서 시 주석과의 통화 가능성이 더욱 불투명해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핵실험 이튿날인 지난 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주요국 정상과 잇따라 전화통화를 하고 공동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그러나 실효성 있는 대북 제재의 키를 쥐고 있는 시 주석과의 통화는 성사되지 못했다.

청와대는 4일부터 한.중 정상통화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으나 이틀 뒤인 6일에도 여전히 조율 중이라는 입장이다.

당초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러시아 순방길에 오르기 전이자 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회의가 폐막하는 5일이 통화시점으로 적당하다고 판단, 통화 의사를 전달했으나 중국 측이 확답을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앞서 문 대통령은 북한에 '최고도의 제재와 압력'을 가하겠다는 구상을 바탕으로 푸틴 대통령에게 대북 원유공급 중단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며 시 주석과의 통화에서도 이를 촉구할 것으로 점쳐져 왔다.

중국이 북한 원유공급의 최대 젖줄이라는 점에서 중국의 참여는 최대 관건이다. 중국이 지금까지 원유공급 중단에 거부감을 보여왔다는 점에서 협력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최근 핵실험으로 한반도 정세가 엄중해졌다는 점에서 전향적으로 검토할 공산도 적지 않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방러 중인 문 대통령이 귀국한 이후 통화가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문 대통령의 귀국 이후 시 주석과의 통화가 성사될지는 미지수다. 중국은 앞서 브릭스 정상회의 직후 발표된 '샤먼 선언'을 통해 북한의 핵실험을 비판하면서도 "평화로운 수단과 모든 관계당사자가 참여하는 직접 대화를 통해서만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ehkim@fnnews.com 김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