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삼성 편든 美 주지사들… 배경은 일자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 정책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미국 내에서 또 나왔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19일(현지시간) 개최한 한국산 세탁기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공청회에서다. 사우스캐롤라이나.테네시 주지사와 주장관, 연방의원 등은 공청회에 참석해 이들 지역에 공장을 짓는 삼성.LG전자의 편을 들었다. 헨리 맥매스터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는 "나는 공정한 무역을 옹호하지만, 이번 건은 세이프가드 대상이 된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미국 정치인들까지 나서 한국산 세탁기 세이프가드에 반대하는 것은 일자리 때문이다. 맥매스터 주지사는 "삼성 공장이 지어지면 2년 내 1000개가 넘는 일자리가 생기는데 무역보복으로 자칫 지역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내놓는 정책마다 일자리에 역행하는 악수를 두는 문재인정부가 곱씹어볼 대목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세이프가드 발동은 혁신을 게을리하는 미국 기업을 두둔해 결국 미국 소비자가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는 논리를 폈다. 맞는 말이다. 실제 미국 가전업체 월풀은 지난 10년 동안 집요하게 한국 세탁기를 물고 늘어졌다. 혁신을 소홀히 해 점유율은 뒷걸음질 쳤다. 그러는 사이 삼성 세탁기는 미국 시장 점유율이 1%에서 올해 19.2%로, LG는 10% 안팎에서 15.6%로 올라갔다. 이런 수치가 월풀의 주장대로 가격만으로 가능한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한국 기업들은 보호무역조치의 과녁이 됐다. 미국 기업들이 '미국 우선주의'에 올라탄 결과다. 세탁기뿐만이 아니다. 철강, 변압기, 화학제품, 태양광 등 전방위로 보복조치가 진행 중이다.
미국의 통상압력은 앞으로도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미국의 무리한 요구와 주장에 물렁하게 대응해선 곤란하다. 앞으로 진행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상 등 치밀한 전략을 짜 우리 논리를 관철시킬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