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여의도에서] 칭찬과 격려 필요한 사회복무요원

[여의도에서] 칭찬과 격려 필요한 사회복무요원

우리 사회는 사회복무요원으로 병역을 이행하고 있는 젊은이들에 대한 평가에 꽤나 인색한 것 같다. 과거 단순한 사무보조 역할에 머물렀다는 평가가 일반적이었던 단기사병이나 공익근무요원 제도의 연장선에서 사회복무요원을 바라보는 시선 때문일 것이다. 여기에다 전방에서 생명을 담보로 복무하는 현역과의 병역이행 난이도를 비교하는 이분법적 해석도 한몫하는 것으로 보인다.

필자는 사회복무요원들의 체험수기를 바탕으로 그들의 봉사활동과 모범적 사례 등을 소개하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는 병무청의 사회복무요원 판정 당시 아쉬움을 털어놓기도 했다. '남자는 현역으로 군복무를 마쳐야 한다'는 사회 일반의 시선을 의식한 결과일 것이다.

사회복무요원 제도는 급속한 고령화 사회 진입과 낮은 출산율에 따른 노인 수발, 장애인 보호, 아동 양육 등 다양하게 나타나는 복지 문제에 국가의 책임이 증가하면서 도입됐다. 과거 단순 사무보조 역할에 그친 병역이행 형태를 공익과 사회서비스 분야에 봉사하는 적극적 병역이행 행태로 전환을 뜻하는 것이다.

이들은 돌봄센터에서 욕창 예방과 배변 활동을 돕는 등 간호보조 역할을 하거나 치매 어르신을 대상으로 퍼즐 맞추기, 종이접기, 식사·귀가 보조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 장애인학교에서 장애아의 등하교와 학습지도를 담당하거나 소방서에 근무하면서 위급한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도 한다.

특히 일부는 사회복지시설에서 복무를 마친 후 다시 시설 직원으로 입사해 봉사를 이어가는 경우가 있고, 해당 분야의 일을 평생의 직업으로 삼기 위해 대학 전공을 바꾸거나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기도 한다. 우리 사회에서 중증장애인을 돌본다든지, 위급한 상황에 처한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데 도움을 줬다면 누구나 그에게 박수를 보낸다. '참 대단한 사람' '우리 사회의 빛과 소금 같은 사람'이라는 수식어도 붙인다. 사회복무요원은 이들처럼 우리 사회의 필요한 곳에서 묵묵히 제 역할을 하고 있다.

물론 병역은 의무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복무하는 게 아니냐는 평가절하나 소수의 일탈행위를 전체 사회복무요원으로 확대해 바라보는 시선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제는 사회복무요원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현역과 사회복무요원이라는 병역이행 형태를 극단적으로 평가하려는 자세는 지양돼야 한다.
현역은 군인으로서 국가의 안위와 국민의 생명을 보호함으로써 병역의무를 이행하고, 사회복무요원은 사회의 안전과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봉사함으로써 병역의무를 이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질은 같은 게 아닌가. 우리 사회에서 누군가 해야 할 일이고 사명감 없이 실천하기 힘든 영역에서 사회복무요원들이 묵묵히 활약하고 있으니 말이다.

기찬수 병무청장은 최근 사회복무대상 시상식에서 "사랑과 나눔의 정신으로 국민행복과 사회 안전을 위해 맡은 바 임무를 다해줄 것"을 사회복무요원에게 당부했다. 국방의 의무를 사회복무요원으로서 이행하는 이들이 자부심을 갖도록 따뜻한 관심과 격려가 필요할 것 같다.

pio@fnnews.com 박인옥 사회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