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비정규직 특별채용 막은 현대차 노조

3500명 채용합의안 부결.. 정규직 노조가 양보해야

현대자동차 노사가 맺은 임금 및 단체협약 잠정합의안이 지난 주말 노조 조합원 투표에서 부결됐다. 현대차 노사는 앞서 기본급 5만8000원 인상, 성과급 300%.격려금 280만원 지급, 하도급 비정규직 근로자 3500명 정규직화 등을 담은 잠정안에 합의했으나 조합원 50.24%의 반대로 무산됐다. 이로써 현대차 창립 50년 만에 처음 노사 협상이 해를 넘기게 됐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도 차질이 불가피하다.

조합원들이 합의안을 부결시킨 것은 임금 인상폭이 지난해(7만2000원)보다 줄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6년 말 평균 연봉이 9400만원인 현대차 노조원들이 작년보다 임금 인상분이 적다고 합의안을 부결시킨 것은 귀족 노조의 제 밥그릇 챙기기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가뜩이나 현대차의 올 경영사정은 최악이다. 중국의 사드 보복 등으로 현대차의 글로벌 판매는 작년보다 6%나 줄었다. 10여차례의 노조 파업까지 더해지며 수익성도 최저치다.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의원이 "울산 현대차 공장이 중국 현지 공장에 비해 인건비는 높고 생산성은 떨어진다. 국내 자동차산업 미래가 걱정된다"고 꼬집은 이유다.

더구나 이번 협상안은 현대차 노조가 비정규직 문제를 들고 나와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경영진도 이에 호응해 2021년까지 하도급 비정규직 3500명 특별고용에 합의했다. 하지만 합의안 부결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정규직 노조의 잇속 챙기기와 이중적 태도에 비정규직이 눈물을 흘린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4월에도 기아자동차 노조는 9년간 한지붕 아래 있던 사내하청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조합원 자격을 박탈했다. 당시 노사는 4000여명의 비정규직 중 1049명을 정규직화하기로 합의했었다.

전체 노동자의 채 10%도 되지않는 강성 노조가 주도해온 우리 노동시장의 모순점은 한둘이 아니다. 우리 사회의 양극화 가운데 특히 노동소득의 양극화는 심각한 문제다.
통계청에 따르면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임금 수준은 2008년 금융위기 전까지만 해도 60%대를 웃돌았지만 그 이후 차이가 벌어지며 지난해 50%대 초반으로 떨어졌다. 고용세습 같은 시대착오적 기득권은 악착같이 움켜쥐면서 상생은 외면하는 대기업 노조가 철밥통 소리를 듣는 이유다. 대기업 노조의 기득권 양보가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