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사우디 원전 수주에 한·UAE 힘 모으길

文, 바라카원전 완공식 참석.. 국내 탈원전 속도조절 필요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원전 1호기 건설 완료 행사에 참석했다. 전날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나하얀 왕세제와 정상회담에서 양국 관계를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기로 한 이후 첫 발걸음이었다. 삐걱거리던 양국 관계의 정상궤도 재진입을 상징하는 행보라 반갑다. 우리 기술로 만든 바라카 원전이 중동 전역으로 외교적 지평을 넓히는 동력으로 작용하길 바란다.

UAE는 우리 입장에선 중동 진출의 관문이다. 중동에서 가장 큰 교역 상대국이라는 뜻만이 아니다. 아랍권에서 탈석유 전략을 선도 중인 나라여서 4차 산업혁명기의 지경학적 전초기지로서 잠재력이 크다. 원전 등 에너지인프라 구축을 넘어 정보통신기술(ICT), 그리고 생명공학(BT) 등 손잡을 영역이 널려 있어서다. 문 대통령도 UAE 언론회견에서 "바라카 원전이 '바라카(baraka.신이 내린 축복)'의 역할을 했다"며 기대를 드러냈다.

그런 맥락에서 문 대통령의 방문으로 양국 간 내연하던 갈등의 진화되는 양상이 주목된다. 문 대통령이 "지난번 잡음이 일기는 했지만, 양국 관계는 훼손되지 않았다"고 했지만 갈등 원인을 공식으로 밝힌 적은 없다. 다만 이명박정부가 원전과 국방협력을 패키지로 수주하는 과정을 현 정부가 '적폐청산' 차원에서 들여다보다 UAE 측의 거센 반발을 불렀다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이제 두 정상이 국방.원전 협력에 합의해 갈등이 봉합됐다니 다행스럽다.

그럼에도 UAE를 석유시대 이후를 내다보는, 중동 진출의 교두보로 삼겠다면 우리의 선결과제도 적잖다. 26일 아부다비발 보도에 따르면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한국과 UAE 간 정상 차원 협력이 이뤄진다면 사우디 원전 수주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국내에서 탈원전을 외치면서 해외 원전 시장을 넘보는 건 자가당착일 수 있다. 국제 상도의에 어긋난다는 차원만이 아니다. 국내 원전을 속속 폐쇄하고 신규로 건설하지 않으면 인력과 부품 '공급 체인'이 끊어지는 건 불문가지다. 이로 인해 차세대 한국형 원전의 대외 신인도마저 떨어진다면 자업자득이다.

그런데도 상당수 환경단체들이 26일 광화문광장에서 문재인정부에 원전 수출 지원 중단을 요구했단다. 그러나 대기 환경을 악화시키는 미세먼지의 주범은 원전이 아니라 천연가스를 포함한 화석연료다.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라고 해서 환경오염과 무관한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국가 차원에서 탈원전 일변도에서 벗어나 합리적 에너지믹스를 추구할 때다. 가뜩이나 글로벌 시장에선 보호무역주의가 팽배 중이다. 한.UAE 관계 정상화가 국익을 최우선 잣대로 해외시장을 다변화하는 계기가 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