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脫석탄 움직임에 속타는 석탄발전

가격 경쟁력은 점점 떨어지는데 환경 파괴 주범으로 눈총
대기오염 물질 상당 부분 석탄발전에서 배출 분석
주요 원산지 석탄 가격도 최근 3년새 80%까지 올라

脫석탄 움직임에 속타는 석탄발전
온실가스 배출과 미세먼지 등 환경 이슈가 전 세계적으로 불거지면서 전력발전 업계에서 '탈석탄'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 또 석탄 가격이 최근 상승세를 보이면서 장점으로 꼽혔던 경제성도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24일 전력발전 업계 등에 따르면 석탄발전이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꼽는 보고서가 잇따라 발표됨에 따라 석탄발전 비중 감소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발간된 미국 에너지부 산하 오크릿지국립연구소의 보고서를 보면 미국 내 발전원은 석탄발전이 43.5%를 차지하고 있지만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의 상당 부분은 석탄발전에서 나오는 것으로 분석됐다. 구체적으로 여러 발전원 가운데 초미세먼지(PM2.5)의 83.0%, 미세먼지(PM10)의 86.3%, 이산화황의 97.7%, 질소산화물의 85.7%, 수은의 94.0%는 석탄발전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내 다른 발전원 비중은 천연가스와 원자력이 각각 23.5%, 20.0%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각국 정부와 금융투자기관, 연기금 등이 석탄발전 지원과는 반대되는 행보를 나타내고 있다.

노르웨이국부펀드는 지난해부터 매출액이나 전력생산량의 30%이상을 석탄발전을 통해 얻는 기업에 대해 투자를 회수하고 있다. 이에 지난해 3월 한국전력도 투자대상기업에서 제외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 최대 연기금 중 하나인 캘리포니아 연기금도 지난해 초 석탄화력발전회사에 대한 신규 투자나 연장을 내규로 금지했다. 이미 이뤄진 투자도 지난해 7월까지 모두 회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유럽연합(EU)의 석탄발전사에게 지원해주는 고정지원금(CP) 삭감 가능성도 제기되고, 유럽개발은행(EBRD)의 경우 석탄화력발전에 대한 금융지원 축소를 결정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다. 정부의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에 의해 노후석탄발전소의 경우 봄철 가동중지 시행 후 오는 2022년까지 폐지하기로 했다. 향후 30년 이상 노후발전소는 봄철 가동중지가 정례화된다. 아울러 석탄발전소 환경설비 개선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12조원을 투자키로 했다.

환경문제와 함께 최근 국제 석탄가격이 상승하면서 석탄발전이 경제성 측면에서도 효용성이 줄어들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세계은행이 발표하는 원자재 가격정보에 의하면 호주, 남아프리카, 콜롬비아 등 주요 원산지 석탄 가격이 지난 2015년에 비해 55~80%가량 올랐다.

국내에 많이 수입되는 석탄 가운데 하나인 호주산 석탄의 경우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 연속 t당 100달러 선을 돌파하는 등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석탄발전사들의 수익성도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지난해 국내 석탄발전량은 23만8919GWh로 총 발전량의 43%를 차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국내 주요 석탄발전사들의 영업이익이 전년에 비해 크게 줄었다.


석탄발전 비중이 약 90% 수준인 남동발전의 경우 지난해 영업이익이 2707억원을 기록, 전년(8341억원)에 비해 67.5% 감소했다. 발전량이 늘었음에도 석탄발전사들의 수익이 줄어든 것은 연료인 석탄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력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도 정책의 방향은 탈석탄 추세에 맞춰 나가고 있지만, 여전히 석탄발전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라며 "석탄발전을 유지하기 위해 환경설비에 12조원을 투자하는 것보다 재생에너지, LNG발전 등 친환경발전량을 늘리는 데 재원을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gmin@fnnews.com 조지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