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원유 빼고 대두까지? ‘물주먹’된 중국

160억달러 대미보복관세 ‘원유 제외’ 뒤늦게 알려져
대두도 수입국 못찾으면서 관세 철회 가능성 커져
美 숨통 끊기 사실상 실패

원유 빼고 대두까지? ‘물주먹’된 중국


【 베이징=조창원 특파원】 미중 무역전쟁에서 중국의 맞보복 카드가 한계에 직면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 160억 달러에 부과키로 한 관세 목록에 주요 표적인 원유를 제외한 것이 뒤늦게 확인됐다.

아울러 고율의 보복관세를 부과했던 미국산 대두 역시 중국내 시장수요에 밀려 다시 수입하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원유 제외···대두도 풀릴 가능성

중국이 미국을 때리기 위해 표적으로 삼은 대표적인 품목은 원유와 대두다. 그러나 두 품목의 대체시장을 당장 찾기가 여의치 않고 중국내 소비량과 물가상승 우려를 감안해 두 품목을 관세보복에서 제외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돼왔다.

이런 상황에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실제로 미국산 원유가 관세표적 목록에서 제외됐다고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원유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폭탄 관세 위협에 맞서겠다며 중국이 올해 6월 보복 리스트에 올린 주요 품목이었다. 중국이 최근 2년간 미국산 원유의 최대 수입국이 된 만큼 미국을 때리기 위해 원유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막상 원유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오히려 지국시장에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가 더 컸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에너지 수요의 70%를 수입에 의존한다. AMP 캐피털 마켓의 애널리스트인 셰인 올리버는 "중국이 수입원유에 관세를 물리면 제 발등을 찍는 꼴"이라며 "중국 경제는 석유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유가 관세목록에서 빠진 반면 대두는 지난달 중국의 미국산 관세 목록에 포함됐다. 대두는 원유와 함께 미국의 대표적인 대중국 수출품목이다. 중국이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텃밭인 농가지역에 타격을 주기 위해 일부러 대두를 보복 품목에 넣었다. 그러나 중국이 조만간 대두 수입제한 조치를 스스로 풀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프랑스 국제라디오방송(RFI)은 독일의 종자관련 전문 간행물 '오일 월드'를 인용해 미중간 무역전쟁 와중에 중국이 지난 달 미국산 대두에 부과했던 관세를 포기하고 수주내에 다시 미국산 대두를 수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세계 최대 대두 수입국인 중국이 미국산 대두에 보복관세를 부과한 뒤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대두수입을 추진해왔으나 확보량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오일 월드'는 "중국이 향후 부득이하게 미국산 대두를 다시 수입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무역전쟁이 해결되지 않더라도 중국은 오는 10월부터 내년 3월까지 1500만t의 미국산 대두수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미 지난 달 관세부과 탓에 미국산 대두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중국내 축산업계가 타격을 받았고 식료품가격도 오를 추세다. 결국 자국내 수급 안정성 압력에 못이겨 미국산 대두 수입을 재개할 것이라고 이 매체는 지적했다.

■주전론 vs 주화론 격론

미국과 자존심 구도로 전개되는 미중무역전쟁을 두고 중국내에서도 주전론과 주화론이 충돌하는 양상이다. 중국 관영매체를 동원해 미국과 끝장승부를 걸어야 한다는 주전론으로 여론몰이를 하고 있지만 무역전쟁 맞대응 카드가 현실적으로 부족한 데다 중국측 내상도 만만치 않아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라 제기된다.


이와 관련, 중국의 경제 전문가인 쉬이미아오는 1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실은 칼럼을 통해 "미국의 500억 달러 규모 중국산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에 중국이 보복 관세로 맞서고, 600억달러 규모 미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지만, 이제 중국이 내놓을 수 있는 카드는 한계에 달했다"고 지적했다.

쉬이미아오는 이어 "무역전쟁에서 강경 대응으로 일관한 중국의 전략은 분명히 실패했고 오히려 미·중 갈등만 심화시켰다"며 "무역전쟁이 더 심각해지기 전에 중국 지도부는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대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승리를 선언하는 것을 지켜보는 것은 고통스럽고 수치스러운 일이 되겠지만, 단기적인 손실이 때로는 장기적인 이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