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가뭄 대책, 실사구시 자세로 접근해야

환경 도그마에 갇히지 말고 4대강 봇물 적극 활용하길

전국적으로 가마솥 더위와 함께 가뭄까지 극심하다. 그 여파로 농작물 피해가 막심하다. 벌써 채소가 등 농산품 가격이 들썩거리며 서민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가뭄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시커멓게 타들어가는 농심은 이보다 더 걱정스럽다. 정부와 지자체가 수자원 수급·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할 때다.

올여름 한반도를 뒤덮은 폭염도 유난스럽지만, 가뭄 또한 이례적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11일까지 한달간 전국 평균 누적강수량은 32.9㎜로 지난 30년간 평균 강수량의 13.2%에 그쳤다. 당장 물 부족으로 생육이 지연되면서 밭작물이 직격탄을 맞았다. 14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사이트에 따르면 국내산 양배추 1포기 가격이 한달 전에 비해 3.11배나 올랐다. 오이가 한주 새 48.9% 오르고 풋고추, 무, 쪽파, 감자, 호박 등의 가격도 폭등세다. 오죽하면 온 국민이 이웃 일본과 중국을 통과한 태풍이 한반도로도 스쳐가기를 기원하는 사태까지 빚어졌겠나.

가뭄으로 인한 물 사정은 충남지역에서 더 급박한 모양이다. 예산군은 예당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내자 9일부터 금강 백제보 상류 백제양수장에서 하루 13만t의 용수를 공급받고 있다. 2015년 대가뭄 때 당시 안희정 충남지사가 착공해 올해 준공된 28㎞ 도수로를 통해서다. 일부 시민단체는 이명박정부의 4대강 사업에 명분을 준다며 도수로 공사를 반대했었다. 그래서인지 예산군처럼 용수난에 직면한 지자체들이 현 정부의 '4대강 보 개방' 논리를 훼손하는 것처럼 비칠까봐 몸을 사리는 분위기라고 한다.

물론 보가 유속을 낮춰 녹조 현상을 초래한다는 환경단체 일각의 주장도 경청할 필요는 있다. 그러나 4대강이 아닌 지류에서 녹조가 더 많이 생기고 있다는 보도는 뭘 뜻하나. 비료나 축산 폐수 등 유기질 유입이 녹조의 진짜 원인일 수도 있다는 얘기다. 그래서 환경부 장관의 최근 행보는 생뚱맞아 보인다.
대청호 상류의 지천에서 발생한 녹조 현상을 완화하려고 충청도 일대 수백만 가구의 식수원인 대청댐 물의 방류를 검토하라고 지시했다니 말이다. 기상청 예보대로 가뭄이 장기화하면 올 농사를 망칠지도 모를 위급한 상황이다. 검증 안된 도그마에 빠져 있을 게 아니라 4대강 보에 담아둔 물을 농업용수로든 식수로든 적극 활용하는, 실사구시적 태도가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