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중소기업연구원, '한·독 스마트팩토리 정책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 발간

중소기업연구원이 '한·독 스마트팩토리 정책 비교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김광희 수석연구위원이 보고서를 작성했다.

한국과 독일의 스마트팩토리 정책과 현황을 비교 분석해 국내 스마트 팩토리 확대 전략을 연구했다.

보고서에서 김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2014년 이후 '제조업 혁신 3.0전략'으로 제조공장의 스마트화를 추진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도 2022년까지 스마트팩토리 2만개 보급을 목표로 하고 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중소기업들은 스마트팩토리를 어떤 시스템으로, 어떻게, 어느 수준으로 도입할 지 몰라 불안감이 높다"고 말헸다.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국제표준이 없는 상태에서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투자가 매몰비용으로 그치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독일의 정책 모델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은 스마트기술의 산업현장 적용, 확대를 위한 ‘중소기업 4.0’ 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23개의 ‘중소기업4.0-역량센터’를 구축해 컨설팅 및 기술이전이 용이토록 하고 있다. 350여개 모범사례를 온라인 지도를 통해 상세하게 제공해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효과를 실감케 하는 등 수요기업 중심의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개발(R&D)과제 추진에 있어서도 중소기업의 투자회수성을 감안한 중소기업에 적용될 수 있는 프로토타입 형태의 솔루션이나 디바이스 개발을 지향하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국내 스마트팩토리 보급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6개 과제를 제시했다.

△컨설팅역량 강화 △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투자마인드 및 학습기회 제공 △모듈형 제품 보급 확대 △스마트팩토리 기술향상 유도 △스마트 팩토리 선진국과 교류 확대 △스마트팩토리 전문인력 확보 등이다.

김 연구위원은 "스마트팩토리 보급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정보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구축비용 및 효과에 대한 확신을 갖도록 해 투자의 불확실성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면서 "수요기업이 자기에 맞는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할 수 있는 안목을 갖도록 하는 시책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요기업 중심의 시책은 현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촉진하게 함으로써 수요·공급 간 괴리를 없앨 수 있다"며 "공급업체 간 경쟁을 유발해 시장을 통한 공급산업의 경쟁력 제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juyong@fnnews.com 송주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