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정과부 화상>
국내 연구진이 폐색증, 허혈성 심뇌혈관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등과 밀접하게 연관된 세포괴사 관련 유전자 ‘RIPK3’를 발견했다. 연구진은 또 이 유전자의 작용원리도 규명, 염증치료의 새로운 가능성를 열었다.
한국화학연구원 신물질연구단 조영식 박사팀은 이같은 연구성과를 세계적 과학저널 ‘셀(Cell)’ 최근호에 발표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진은 고효율 RNA 분석법을 이용, 세포 사멸의 일종인 ‘세포괴사’를 유발하는 유전자 ‘RIPK3’를 찾아냈다.
그리고 이 유전자가 인산화효소라는 사실과 외부자극 및 감염시 ‘RIPK1’ 유전자와 복합 단백체를 형성하면서 활성화돼 염증을 유발한다는 원리도 밝혔다.
이렇듯 프로그램화 된 세포괴사의 분자메커니즘을 알면 유전자의 특이억제제 개발을 통해 폐혈성 쇼크, 허혈성 심뇌혈관질환 등 난치성 염증질환의 새로운 개념의 치료제를 만들 수 있다는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조영식 박사는 “기능적으로 세포자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세포괴사를 특이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신약은 아직 전세계적으로 없는 상황”이라면서 “앞으로 화학연의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RIPK3’를 타깃으로 하는 신약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economist@fnnews.com이재원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