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국감에서 미착공 물량 매각 계획에 대해 밝힌 해명이 거짓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1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미경 의원은 "LH가 지난해 12월 미착공 물량에 대한 매각계획을 결정했다고 밝힌 것과 달리 이미 같은 해 6월부터 민간매각을 진행해왔다"며 "이는 명백한 거짓"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국토위 소속 김상희 의원이 미착공 부지에 대한 매각 계획을 공개한 데 대해 LH는 "감사원의 지적에 따라 지난해 12월 12일 계획을 수립해 민간매각을 결정했다"고 해명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의원이 확인한 결과 LH는 지난해 6월 매각을 시작해 올 7월까지 민간 매각을 실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20여개 지구 1만5000가구를 1조5297억원에 매각한 것이다.
이 의원에 따르면 LH는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보금자리주택으로 연평균 10만가구의 사업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침체 등으로 착공 물량이 연간 6만가구에 그쳐 사업승인 후 미착공 물량이 연간 4만가구씩 누적돼 있다. 지난 7월말 기준 미착공 물량은 34만1000여가구다.
이에 LH는 지난해 12월 'LH 미착공 공공주택 부지 활용방향'을 내놓고 2017년까지 민간매각을 통해 5만가구를 해소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 의원은 "LH의 해명과는 달리 지난해 12월 이전 민간매각 물량은 이미 7806가구에 달해 지금까지 민간매각량의 절반을 넘어섰다"며 "게다가 민간 매각물량 가운데 부영이 매입한 임대주택 763가구를 제외한 전 가구는 분양주택으로 활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어 "공익적 목적을 위해 수용한 공공택지를 민간건설사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 매각하는 것은 공용수용 제도의 취지에 맞지 않다"며 "LH 부채감축에 단기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사업영역을 좁히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ehkim@fnnews.com 김은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