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文대통령 추념사에 ‘北’은 없었다…역대 대통령 추념사는?

文대통령 추념사에 ‘北’은 없었다…역대 대통령 추념사는?
문재인 대통령이 6일 대전현충원 현충탑에서 열린 제63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6일 현충일 추념사에 ‘북한’이라는 단어를 한 번도 꺼내지 않았다. 아울러 ‘애국’ 보다는 ‘이웃’을 강조했다.

북한에 대한 불필요한 언급을 하지 않으며 평화분위기를 이어가고자 하는 의지가 엿보였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현충일 추념사에서도 북한에 대한 별다른 메시지를 꺼내지 않았다.

통상 현충일 추념사에서는 한국전쟁 희생자들을 주로 기린다. 그러나 문 대통령의 이날 추념사에는 이웃을 구하고 숨진 희생자들이 함께 등장했다. 국가유공자 의미를 전쟁 희생자에서 한 단계 넓히겠다는 의도다.

1999년 이후 19년 만에 서울현충원이 아닌 대전현충원에서 추념식이 열린 것도 이 때문이다. 군인 위주로 묘역이 조성된 서울현충원과 달리 대전현충원에는 의사상자와 소방공무원 묘역도 조성돼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전쟁보다는 ‘이웃에 대한 희생'을 강조하며 남북간 감정이 상할 수 있는 요소를 없앴다.

역대 대통령들도 남북 간 좋은 분위기가 이어질 땐 현충일 추념사에서 북한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반대로 남북 분위기가 경색됐을 땐 강력한 비판을 쏟아냈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은 취임 첫 해였던 2003년 현충일 추념사에서 “북핵 문제는 지금까지의 노력과 성과를 바탕으로 반드시 평화적으로 해결하겠다”고 짧게 언급한 것 이외에는 북한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았다.

이어 2004년과 2005년 추념사에서는 ‘남북 장관급 회담’과 관련 간단한 상황 설명만 있었다. 남북정상회담이 이뤄지는 등 남북관계에 훈풍이 불었던 임기 말 두 해에는 북한과 관련한 언급을 전혀 하지 않았다.

이명박 정부 들어서는 남북관계 분위기가 변화함에 따라 현충일 추념사도 완급을 조절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 취임 첫해인 2008년 북한은 6자 회담 등 국제무대 대화테이블로 나섰다. 또, 세계 언론인이 지켜보는 가운데 영변 원자로 냉각탑을 폭파하기도 했다.

남북관계가 호전되자 이 전 대통령도 당시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북한에 다소 온화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 전 대통령은 “북한이 비핵화를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하는 것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앞으로 남북간 진지한 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후 유엔총회에서 한국 정부가 대북인권 결의안 공동제안을 내놓으며 남북관계는 경색 분위기로 치달았다. 이듬해 이 전 대통령의 현충일 추념사 역시 “'우리 민족’을 주장하던 북한이 동족인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며 비판조로 돌아섰다.

이어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과 5.24 조치 등 남북관계가 극단적으로 악화되자 이 전 대통령은 추념사를 통해 "천안함 사태에 국민이 한 마음으로 위로하고 있다.
적의 총탄에 쓰러져 간 호국영령들을 가슴 속에 묻는다"며 감정섞인 반응을 보였다.

남북관계가 악화일로를 걸었던 박근혜 정부 동안에는 네 번의 현충일 추념사에 모두 북한 정권에 대한 비난 메시지가 담겼다.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에 이은 개성공단이 폐쇄 등 남북관계가 걷잡을 수 없도록 악화된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은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북한이 비핵화의 길을 선택할 때까지 강력한 제제와 압박을 지속해 나가겠다"며 "도발 시에는 주저 없이 단호하게 응징해 우리 국민 생명과 안전을 반드시 지키겠다"고 압박 강도를 높였다.

golee@fnnews.com 이태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