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

수도권 주택 물량 늘려도 서울 집값 잡기엔 '역부족'

수요 선호하는 도심 중심.. 서울인접 지역에 집중해야

경기도 등 수도권에 신규 택지를 공급해 주택 물량을 늘리는 것 만으로는 서울 아파트 집값을 잡기 역부족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서울 아파트값은 재건축·재개발 등 도시정비사업 속도나 개발 호재 등 각종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제대로된 공급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8일 부동산리서치업체 부동산인포가 지난 2015년 이후 전국 월별 입주물량과 매매가격·전세가격 추이를 분석한 결과, 입주물량이 늘어나면 서울 지역은 영향을 적게 받는 반면, 지방은 지역 부동산 가격이 약세를 보였다.

실제 지난 10월 2378가구의 입주물량이 예정된 충남은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변동률이 모두 마이너스 전환해, 각각 -0.12%, -0.18%를 기록했다. 입주물량(665가구)이 적었던 지난 9월의 매매가격(-0.05%)이나 전세가격(-0.15%) 보다 하락폭이 큰 셈이다. 2333가구가 입주하는 경남도 비슷한 상황이다.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의 변동률은 각각 -0.03%, -0.09%를 보여 모두 동반 하락했다. 지난 9월 765가구가 입주했을 때보다 전세가격(0.07%)이나 매매가격(-0.08%) 내림폭이 크다.

반면, 서울은 단순 입주물량 증가 만으로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을 잡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1610가구가 입주한 지난 8월 서울 아파트의 매매가격 변동률은 2.64%로 입주물량이 적었던 지난 7월(762가구)보다 아파트 가격이 오히려 올랐다. 입주물량이 늘더라도 아파트 가격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승한 것이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팀장은 "서울은 특정 시기에 매매가가 급등하는 모습이 자주 나타나는 상황"이라며 "서울 아파트시장은 재건축 관련 이슈와 개발이슈 등에 따라 입주물량, 전셋값 변동과 별개로 매매가 변동률이 큰 상승폭을 기록하곤 했다"고 했다.

이에 서울 도심 등 실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곳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공급대책을 펼치지 않는한, 각종 변수에 민감한 서울 집값을 잡기 힘들다는 조언이다.

권 팀장은 "서울 도심, 변두리, 서울시 인접지역까지 공급이 적시에 이뤄지지 않는다면 공급을 통해 서울 집값 안정화는 이루기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수도권내에서조차 서울과 경기· 인천의 주택시장 분위기가 다른만큼 지역 상황에 따른 공급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jyyoun@fnnews.com 윤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