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은행 "내년 불황파고 넘을 해법 찾아라"...경영전략 마련 고심

내년도 경영전략마련 분주
中企 대출·스타트업 투자·국외사업 확대 등 
수익 다변화 대책 마련 중 

[파이낸셜뉴스 최경식 기자]
내년 경기 침체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시중은행들이 경영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이자수익과 같은 단편적인 수익 모델에서 벗어나 우량 중소기업 대출과 초기기업 투자, 해외진출 등 사업 다각화에 나설 계획이다.

■전통적 수익원 악화 우려...수익다변화 사활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연말이 다가오자 시중은행들은 내년도 사업계획 준비에 착수했다. 대부분 시중은행들은 이번달 말까지 사업본부별 계획들을 모아 12월 중에 목표 등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내년 은행들의 전통적인 수익창출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정책 등으로 시중은행들의 대출 자산 성장에 제동이 걸렸다. 9·13 부동산 대책과 다주택자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금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전면 시행되면서 은행에서 돈을 대출받기가 힘들어졌다. 또 국내 수출기업들의 수익 둔화 전망과 글로벌 무역전쟁, 금융소비자 보호를 강조하는 정부의 정책기조 등도 내년 은행들의 수익 전망을 어둡게 만드는 요인으로 거론된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수익다변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은행들은 몇 년 전부터 진행해오던 우량 중기대출 규모를 대폭 늘려나갈 계획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 정부의 정책과제(생산적 금융)에도 부합하는 측면이 있다"면서 "중소기업 고객의 경우 대출만이 아니라 퇴직연금과 급여이체, 공과금 이체 등과 같은 추가 수익을 도모할 수 있어 우량 중소기업들을 발굴하고 대출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은행들은 내년 중기대출 규모를 최소 5조원에서 최대 9조원 이상 늘릴 계획이다.

■초기기업 투자, 해외진출 등 적극 모색
초기기업에 대한 투자도 은행들이 큰 관심을 갖고 있는 사업이다. 최근 시중은행들은 단순 육성에서 벗어나 지분투자 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유망한 초기기업을 발굴, 투자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형성, 중장기적 관점에서 많은 수익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전했다.

현재 신한금융지주는 그룹사 내 계열사를 통해 일정 금액의 직접 투자를 시행하고 있으며, '신한 퓨처스랩'을 통해 협업이 가능한 초기기업에 대한 멘토링 및 사무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우리은행도 창업 7년 이내의 초기기업 등 혁신기업에 대해 120억원 규모의 직접투자에 나서고, 기업은행과 하나은행도 직접투자 확대와 육성센터를 통한 지원방안을 다양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괄목한 만한 성장세를 보였던 해외진출 분야에서는 사업 국가를 더욱 다각화할 예정인 가운데 그동안 동남아 국가에 주로 매진해왔던 전례에서 벗어나 유럽, 북미시장 진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특히 우리은행은 지난달 유럽 법인 설립 인가를 획득, 영업 기반을 마련했고, 앞으로 프랑크프루트를 시작으로 런던 지점과 폴란드 사무소와의 유럽금융벨트를 조성해 시너지 창출을 도모할 예정이다. 국민은행도 조만간 뉴욕IB데스크 등을 개소해 내년 상반기 중에 홍콩, 런던, 뉴욕 3각 편대를 완성한다는 복안이다. 이는 향후 신디케이션론과 구조화금융여신 등 IB 업무를 기반으로 수익 창출을 높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밖에 인수합병(M&A)이나 디지털, 제3인터넷전문은행 등을 통해서도 중장기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은행의 경우 내년 지주사 전환과 맞물려 자산운용사나 부동산신탁사 등에 대한 우선 인수합병에 매진할 것으로 보이고, 신한은행은 최대 30%까지 제3인터넷은행 지분참여 가능성을 열어 놓고 국내 대형 O2O(온.오프라인 연결) 기업 등과의 컨소시엄 구성을 완료할 것으로 보인다"며 "하나은행 등 다른 은행들도 시장 상황을 살피며 IT 파트너사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고 전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이 전통 수익 기반을 벗어나기 위해 내년에 사업 다각화에 그 어느 때보다 전념할 예정이지만, 전망이 그렇게 수월하지만은 않을 것"이라며 "중기대출의 경우 시장이 점차 포화상태로 가는 것과 더불어 경제 사정에 따른 건전성 리스크도 상존하고 있고, 초기기업 투자나 해외사업 다각화 등을 통해서도 이른 시일 내 가시적 성과를 보장받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kschoi@fnnews.com 최경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