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교보생명 상장 추진] 새 회계기준 대비 2조~5조원 필요… IPO로 돌파구 마련

내부유보금으로는 자본확충 한계
재무적투자자 투자금 회수 목적도
디지털 혁신 등 신성장 동력 강화신창재 회장 우호 지분 줄어들어

[교보생명 상장 추진] 새 회계기준 대비 2조~5조원 필요… IPO로 돌파구 마련


교보생명의 기업공개(IPO) 추진은 IFRS17(보험업 신국제회계기준)과 K-ICS(신지급여력제도)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다. 보험업계 안팎에선 IFRS17과 K-ICS 동시 도입을 앞두고 자본확충이 급박한 상황에서 교보생명이 신창재 회장의 안정적 경영권 확보보다 최선의 자본확충 방법인 IPO를 선택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향후 IPO가 도입되는 과정에서 교보생명은 신 회장 경영권 보호라는 숙제도 떠안게 됐다.

■신창재 회장, IPO로 선회

1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교보생명은 지난 1989년 기업공개를 전제로 자산 재평가를 해 보험업계에 IPO 불을 지핀 보험사다.

이 때문에 교보생명은 생보사들의 상장이 이뤄질 때마다 상장 0순위 생보사로 지목됐다. 하지만 그때마다 교보생명은 번번히 상장을 급히 추진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올해 초에도 신창재 회장은 "교보생명 상장 시기는 IFRS17와 K-ICS 도입 등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무건전성 척도인 RBC(지급여력) 비율이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150%를 넘어 200%를 초과했고 충분한 이익잉여금도 축적해 왔다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상황이 바뀌었다. 매년 5000억원 안팎을 내부유보금으로 쌓아놨고 지난해 7월에는 5억달러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해외에서 발행한 교보생명도 IFRS17과 K-ICS 동시도입에 따른 자본확충이 어려울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낀 것이다. 실제로 교보생명이 컨설팅을 의뢰했던 2곳에서 새로운 제도 도입에 대응하기 위해 자본확충이 필요하며 선제적으로 증자(자본확충)를 추진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보고서를 받고 IPO를 망설였던 신 회장도 마음이 바뀐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 교보생명 관계자는 "수 년 전부터 새로운 규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본확충을 검토하고 체계적으로 준비해 왔다"고 말했다.

■FI 반발 의식… 내년 상장 추진

최근 국내 증시 상황이 좋지 않은데도 교보생명이 그동안의 입장에서 벗어나 IPO 추진을 결정한 것은 재무적투자자(FI)들의 반발을 의식한 측면도 있다.

내년 안에 증시 상장으로 투자금을 회수하고 차익도 노릴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FI들을 달래려는 의도도 IPO 추진의 또 다른 이유라는 것이다. 실제로 FI들은 2012년 대우인터내셔널의 교보생명 지분 24.0%를 사면서 2015년 말까지 IPO가 이뤄지지 않으면 신 회장에게 지분을 되파는 풋옵션을 받았다.

교보생명이 약속한 시점이 3년 넘게 지났지만 IPO가 이뤄지지 않자 투자금을 회수해야 하는 FI들은 최근 신 회장을 상대로 1조2000억원의 풋옵션 행사를 통보한 상태다. 해당 FI들은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 IMM프라이빗에쿼티, 베어링PEA, 싱가포르투자청(GIC) 등이다.

IPO로 신주가 발행되면 신 회장에 대한 우호 지분은 줄어들게 된다. 신 회장의 경영권에는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게 교보생명측의 설명이다.

현재 교보생명 최대주주는 신 회장(33.8%)이다. 특수관계인 포함 지분은 39.4%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신주 발행 규모는 정해지지 않았다"면서도 "우리사주조합에 우호적 투자자 지분까지 더하면 신 회장 경영권에는 영향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교보생명 관계자는 "IPO는 FI와의 풋옵션과는 관계가 없는 최선의 자본 확충의 의미다"고 강조했다.

한편, 교보생명은 IPO를 바탕으로 디지털 혁신 등 새로운 사업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려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도약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전략으로 IPO가 이뤄지면 교보생명의 브랜드가치도 더욱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ck7024@fnnews.com 홍창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