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대우조선 민영화 이를수록 좋다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 인수자로 나섰다. KDB산업은행은 1월31일 이사회를 열고 대우조선 민영화 계획을 밝혔다. 산은이 대우조선 지분 전량(55.7%)을 현대중공업에 현물출자하는 방식이다. 산은은 이날 현대중공업과 조건부 MOU(양해각서)를 맺었다. 세계 조선업에서 현대중공업은 1위, 대우조선은 2위다. 세계 1·2위 업체의 인수합병(M&A)은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도 큰 파장을 부를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 민영화는 이를수록 좋다. 이 회사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부터 공적자금을 지원받았다. 박근혜정부 때도 두차례에 걸쳐 막대한 자금 투입이 이뤄졌다. 대우조선을 살리려고 들어간 세금이 적어도 십수조원에 이른다. 공적자금은 부실기업에 그냥 준 돈이 아니다. 가능한 한 회사를 일찍 팔아서 공적자금을 국고로 환수하는 게 원칙이다. 국책 산업은행이 20년째 '코끼리 대우조선'을 자회사로 두고 있는 모습도 우습다.

매각 이야기는 끊임없이 나왔다. 2017년 봄 당시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대우조선이 구조조정을 통해 작지만 단단한 회사가 되면 인수합병을 통해 주인을 찾겠다"고 말했다. 대우조선 정성립 사장도 입버릇처럼 매각을 말했다. 가장 최근엔 지난해 11월 기자간담회에서 "한국 조선업이 빅2 체제로 재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마침 임자가 나왔을 때 파는 게 좋다. 그 임자가 한국 기업이라면 더 바랄 나위가 없다.

과거 현대중공업은 대우조선 인수에 부정적이었다. 사실 2,3년 전만 해도 국내 조선 빅3는 제 코가 석자였다. 다행히 지난해부터 글로벌 업황이 바닥에서 벗어날 조짐을 보인다. 1·2위 업체가 하나가 되면 지금처럼 3사가 일감을 놓고 저가 수주 경쟁을 벌이는 일도 줄일 수 있다. 여러모로 현대중·대우조선 합병은 검토할 만한 카드다.

그러나 곳곳이 걸림돌이다.
양사 노조의 반발, 합병에 따른 독과점 시비가 예상된다. 지난 2008년엔 한화그룹이 중도에 대우조선 인수를 포기한 전례도 있다. 정부와 산은이 철저하게 대비해야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