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北美 2차 핵담판 결렬] '중재자' 文대통령 다시 등판할까

北美협상 위기때마다 구원투수 역할… 방미 시기 앞당길 수도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기대와 달리 '협상 결렬'로 막을 내리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향후 역할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북·미 협상이 위기에 봉착할 때마다 촉진자와 중재자 역할을 자임했던 만큼 이번에도 '구원투수'로 나설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2월 28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그동안 북·미 간 가교 역할을 마다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당시 회담을 20일 남짓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지 않겠다고 선언하면서 역사적인 북·미 회담 개최가 수포로 돌아갈 위기에 처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의 두 번째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이라는 승부수를 던졌다. 회담 사실조차 사후에 공개했을 만큼 극비리에 이뤄진 이 회담에서 문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김 위원장을 설득하고 비핵화 담판에 필요한 대화의 틀을 유지하는 데 주력했다. 문 대통령의 이러한 노력은 마침내 6월 12일 북·미 간 싱가포르 정상회담이라는 결실로 이어졌다.

2차 북·미 회담을 앞두고도 트럼프 대통령에게 '남북경제협력 카드'를 제안하며 회담 성과 극대화를 이끌어 내는 데 집중했다.

문 대통령은 회담을 10일 정도 앞둔 지난달 19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견인하기 위한 상응조치로서 한국의 역할을 활용해 달라는 뜻을 전달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사이의 철도, 도로 연결부터 남북경제협력 사업까지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한다면 그 역할을 떠맡을 각오가 돼 있고 그것이 미국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길"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비핵화 조처에 대한 미국 측의 상응조처에 대해 문 대통령이 '지렛대 역할'을 자처하면서 최선의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회담의 최대 쟁점이 '미국의 비핵화'와 '북한의 제재완화' 요구 사이의 간극이었다는 점도 문 대통령의 향후 중재 역할에 대한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결렬 후 가진 단독 기자회견에서 "북한은 제재완화를 전체적으로 해줄 것을 요구했지만 우리는 그렇게 하지 못했다"며 "상당히 많은 부분에 대해 비핵화의지가 있었지만 저희가 완전히 제재를 완화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핵을 일부 보유하기를 원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양국 간의 간극을 좁히기 위한 문 대통령의 연쇄 북·미 접촉이 예상되는 부분이다. 이에 일러야 오는 4월 정도로 예상되던 문 대통령의 방미 시기가 앞당겨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정상 통화로 회담 내용과 결과 등에 대한 공유는 이뤄진다고 해도 급랭 위기의 북·미 관계를 감안한다면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이 불가피해 보이기 때문이다.

fnkhy@fnnews.com 김호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