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르노삼성, 조합원들이 거부하는 파업 왜 하나

르노삼성차 노조는 5일 재협상을 위한 실무교섭이 진전을 보이지 못하자 무기한 전면파업을 선언했다. 지난해 6월 노사가 협상을 시작한 이후 노조가 전면파업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럼에도 이 회사 부산공장은 가동을 멈추지 않았다. 조합원 절반 이상이 파업에 참여하지 않아서다. 회사측은 "과반수의 파업불참 노조원들과 함께 생산을 계속하고 있다"면서 "노조와 협상도 계속 할 것"이라고 밝혔다.

차산업은 신기술 발전과 승차공유 확산 등으로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세계 주요 자동차기업들은 살아남기 위해 대규모 인력구조조정과 합종연횡도 불사하고 있다. 이런 시기에 르노삼성차 노조는 벌써 1년째 노사분규에만 몰입돼 있다. 회사는 생사의 기로에 놓여 있는데 오로지 투쟁만 일삼는다면 돌아오는 것은 자멸이 아니겠는가.

집행부는 자신들이 전면파업을 선언했음에도 다수 조합원들이 왜 공장에 남아 생산을 계속했는지를 깊이 성찰해봐야 한다. 집행부는 임단협 협상이 시작된 이래 부분파업을 남발했다. 지난달에는 우여곡절 끝에 잠정합의안을 도출했지만 찬반투표에서 부결됐다. 이후 재협상마저 결렬되면서 분규사태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 조합원 다수가 집행부의 전면파업 결정에 따르지 않은 것은 드문 일이다. 집행부는 투쟁일변도 노선에 대한 조합원들의 불안감을 헤아려야 한다.

르노삼성차 부산공장은 지난해 21만대를 생산했다. 올해에는 생산량이 절반 이상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미 장기분규 여파로 닛산 로그 수출물량의 40%(4만대)가 깎였다. 나머지 6만대도 올해 계약이 끝난다. 내년분 신차 수출물량을 새로 배정받아야 한다. 르노 본사로부터 내년 물량을 받으려면 늦어도 상반기 안에는 임단협을 매듭지어야 한다.
그러지 못할 경우 르노삼성차와 200여개 협력업체는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르노삼성차는 부산의 지역내총생산(GRDP) 8%, 수출액의 20%를 차지한다. 르노삼성차가 문을 닫으면 지역경제도 타격을 피하기 어렵다. 과연 이 파업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