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얼어붙었던 北美 '비핵화 교착' 친서외교로 돌파?

김정은, 트럼프 친서에 "심중하게 생각" 만족표시
'흥미로운' 부분? 북미대화 재개한 묘책 담겼나
靑, 친서외교에 "대화모멘텀 지속, 긍정적" 평가

얼어붙었던 北美 '비핵화 교착' 친서외교로 돌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집무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편지를 읽고 있다. 23일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면 기사를 통해 이 내용에 대해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편지에 "흥미로운 내용이 실려있다"면서 만족감을 표시했다. /사진=노동신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친서를 전달받고 "심중하게 생각하겠다"며 만족감을 표시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친서외교가 사실상 멈춰선 비핵화 협상의 분위기를 바꿀지 주목된다.

23일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경애하는 최고령도자 김정은 동지께 미합중국 대통령이 친서를 보내여왔다'는 1면 기사를 통해 이 사실을 보도했다. 이 기사에는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편지를 진지하게 읽고 있는 사진도 함께 게재됐다.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훌륭한 내용이 담겨져 있다"며 만족을 표했고,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판단 능력과 남다른 용기에 사의를 표한다면서 "흥미로운 내용을 심중히 생각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11일·17일(현지시간) 미국 언론에 김 위원장에게 '아름다운 편지'와 생일축하 편지를 받았다고 밝힌 트럼프 대통령도, 이번 김 위원장도 친서의 내용에 대해서는 일체 언급하지 않았지만 두 정상의 반응을 보면 앞으로 북미협상에 긍정적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두 정상이 주고받은 편지가 모두 정상 개인에게 보낸 것이었고,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등 북미 교착국면에서도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개인적으로 '좋은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한 바 있어 '탑다운 방식'의 대화재개 논의도 오갔을 가능성이 높다.

■'흥미로운 내용'? 北美 대화재개 묘수 찾았나?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를 접한 김 위원장의 발언 중 '흥미로운 내용'이 있다는 부분은 앞서 김 위원장의 편지를 본 트럼프 대통령이나 이 내용을 공유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3일(현지시간) 노르웨이 방문 중 "아주 흥미로운 대목이 있다"고 발언한 것은 상당히 의미심장하다.

비핵화 진전을 위한 대화의 길이 막힌 상황에서 흥미로운 부분이라면 북미 정상이 교환한 서신에는 북미대화를 재개해 비핵화 문제를 본질적으로 풀 수 있는 묘수나 대안, 단초 등이 실려 있었을 것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미국은 지난 하노이 담판에서 북한에게 영변 핵시설에 '플러스 알파' 폐기를 요구했다. 현재 비핵화 국면이 시간적으로나 힘의 균형상 미국에 유리하게 흘러가고 있기 때문에 북한이 다소 양보하고 미국도 이에 호응, 대북제재의 숨통을 터주는 방식의 대화가 오갔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방북, "북한의 안보·개발에 우려에 도움을 주겠다"는 발언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서신을 전한 사실이 밝혀진 것을 고려하면 중국과 급속도로 붙는 북한에 대한 미국의 '당근', 즉 대북 유화책이 편지에 담겼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靑 "친서외교, 대화모멘텀 측면에서 긍정적"
한편 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가 김 위원장에게 전달된 것에 대해 "북미대화의 모멘텀을 이어간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정부 입장문을 전하며 "정부는 친서 전달 사실을 한미 소통을 통해 인지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친서 전달 사실을 미리 알고 있었음을 강조하고 있지만 교착상태에 놓였던 북미관계가 해소될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의 중재자적 역할은 부각되지 않고 있다. 지난해 비핵화 진전에 역할을 하면서 '남북미 대화구도'를 만들었던 것을 무색하게 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북한은 우리 정부와 세 차례 정상회담을 갖고 군사적 긴장완화·비핵화 진전에 머리를 맞대며 긴밀한 관계를 형성했으나 하노이 담판 이후 냉대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북한은 문 대통령의 거듭된 대화 메시지와 4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요구에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또 이번 북미 정상간 친서 외교에서도 정부는 상황은 공유 받았지만 친서의 전달 과정에서는 역할을 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방한하는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도 방한을 계기로 판문점에 북한과 '직접' 접촉할 가능성이 높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김호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