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1초에 200만원씩 늘어나는 국가채무

文정부 출범후 급증 추세
재정준칙 제정 서둘러야

국민이 세금으로 갚아야 할 나랏빚이 1초에 200만원씩 불어나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의 국가채무시계에 따르면 국가채무(D1)는 1일 오전 11시 현재 735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말(700조5000억원)보다 35조원 늘었다. 연말까지는 741조원(본예산 기준)까지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지방정부 순채무 전망치(30조원)까지 합치면 나랏빚은 1초에 199만5400원씩 꼬박꼬박 불어나고 있는 셈이다.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는 당장 위험한 수준은 아니다. 지난해 말 현재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38.2%다. 유럽연합(EU)의 권장수준(60%)에 비춰보면 아직은 양호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증가하는 속도다. 2012~2017년의 5년간 국가채무는 연평균 38조원 늘었다. 국가채무비율도 연평균 1.2%포인트꼴로 높아졌다.

지난해부터는 국가채무가 불어나는 속도가 한층 빨라지고 있다. 올해 국가채무 증가폭은 60조5000억원으로 그전 5년간 평균치보다 60% 가까이 늘어난다. 이처럼 국가채무 증가속도가 빨라진 것은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복지와 경기부양을 위한 지출을 크게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복지지출은 저출산·고령화로 노인부양비가 높아진 데 따른 불가피한 현상이다. 경기부양 지출이 늘어난 것도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글로벌 불경기를 헤쳐나가기 위해 필요한 측면이 있다. 확장적 재정운용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들의 권고사항이기도 하다.

그러나 국가채무 급증 추세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복지수요 증가는 이제 겨우 시작 단계다. 선진국들의 경험에 비춰볼 때 고령화는 막대한 재정수요를 유발해 국가채무 비율을 단기간에 급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비율 14%) 진입시점을 기준으로 할 경우 한국(38.2%, 2017년)은 프랑스(32.6%, 1979년)나 독일(36.8%, 1972년)보다 국가채무비율이 높다.

정부의 씀씀이가 너무 헤프다. 정부는 앞으로 5년간(2019∼2023년) 국세수입은 연평균 3.4% 증가하는데 지출은 매년 6.5%씩 늘릴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3년에 가면 국가채무는 1000조원을 넘고 국가채무비율은 46.4%까지 오른다. 국가채무 급증을 억제할 장치가 있어야 한다. 국가채무 비율과 관리재정수지 적자비율을 일정 범위 이내로 관리하는 재정준칙 입법화를 서두르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