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농업의 미래 스마트팜, 배척해선 안된다

관련종목▶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농정틀 전환을 위한 2019 타운홀미팅 보고대회'가 열린 전북 전주 한국농수산대를 찾았다. 이 자리에서 "농정의 틀을 대전환해 청년들이 농어촌에서 미래를 일굴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스마트팜 기술을 중소 농어가에도 보급하겠다고 했다.

매년 50만명이 도시를 떠나 농어촌으로 향하고 있다. 이들의 절반은 40대 미만 청년들이다. 올해 농어업 취업자 수는 136만명으로 2년 전보다 9만명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 산업화 시대에는 젊은이들이 농어촌을 떠나 도시로 갔다. 그러나 이제는 반대다. 농어업이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변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신농업의 대표주자가 스마트팜이다. 스마트팜은 농업에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과 같은 첨단기술을 접목한 농장이다. 온도, 습도, 일조량, 이산화탄소, 토양 등을 자동으로 측정·제어하고 모바일 기기로 운영시스템을 원격관리하는 생산방식이다. 쉽게 말해 정보통신기술(ICT)로 작물을 생산하는 식물공장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스마트팜 기술은 중앙아, 동남아, 중동은 물론 일본, 미국까지 수출될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뿌리 내리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2018년 초부터 전북 김제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은 2년째 제자리걸음이다. LG그룹은 새만금에 대규모 스마트팜을 조성하는 사업을, 동부그룹은 화성에 유리온실을 짓는 사업을 각각 추진했으나 성사되지 못했다. 지역의 일부 농업단체나 환경단체 등이 반대해서다. 이들은 도시 자본과 기술이 들어오면 옛 기술에 의존하는 농민들이 설 자리를 잃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농업이 발전하려면 '우물 안 개구리' 식 발상에서 깨어나야 한다. 정부도 표를 의식해 농민단체들 눈치만 살피는 행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경지가 협소한 우리가 기존 방식으로 미국 농산물과 경쟁할 수는 없다. 그러나 스마트팜을 하면 해볼 만하다. 새로운 자본과 혁신기술 유입을 거부하는 것은 농업을 살리는 것이 아니라 죽이는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