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신종 코로나 급한 불 끄며 장기 대책도 세워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발원지인 중국 우한과 인근에 체류하던 교민 일부가 1월 31일 귀국했다. 감염증 의심증상으로 병원에 이송된 18명을 뺀 350명은 충남 아산과 충북 진천으로 나뉘어 수용됐다. 고립무원 상태인 교민들을 귀국시킨 건 다행이나, 그 과정에서 허둥지둥한 정부의 대응이 영 미덥지 않아 보였다. 지역주민들의 반발로 한바탕 홍역을 치른 뒤라서다.

중국 내에서 신종 코로나 확진자가 1만명 선에 다가서는 등 확산일로다. 30일 하루 사이에 43명의 추가 사망자가 나왔다. 우리에게도 강 건너 불이 아니다. 2차 감염자가 발생한 데다 31일 국내 확진자는 총 11명으로 늘어났다. 그럼에도 정부는 체계적 대응은커녕 우왕좌왕하는 인상이니 더 문제다. 귀국 교민을 충남 천안으로 보내려 했다가 납득할 만한 설명도 없이 아산·진천으로 바꾸거나, "유증상자도 데려오겠다"고 했다가 번복한 게 그런 사례다.

그래서 격리시설 인근 주민들의 반발을 그저 지역이기주의로 몰아선 곤란하다. 외려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때 겪었던 주먹구구 대응을 답습 중인 정부부터 자성할 일이다. 지금이라도 격리시설의 철저한 안전관리 대책을 투명하게 내놓고 지역민의 이해를 구하란 얘기다. 더욱이 2월 중 유학생을 포함해 수만명의 중국인이 들어올 예정이다. 이번엔 빈틈없는 검역관리로 정부의 신뢰를 회복할 기회다.


세계보건기구(WHO)도 1월 30일(현지시간) 결국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다. '사상 6번째 PHEIC'이니 앞으로 또 다른 감염병이 세계적으로 대유행할 수 있다는 말이 아닌가. 치료와 확산 차단 등 급한 불을 끄는 것 못잖게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과 국가지정 공공 격리시설 구축 등 유비무환의 자세도 중요하다. 메르스 사태 때도 제기됐던 공공 격리시설을 미리 갖춰놨더라면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지불한, 이번 천안·아산·진천 파동은 일어나지도 않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