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제3국 감염에 구멍… 방역망 더 촘촘히 짜야

창궐하는 전염병은 국경으론 막지 못한다. 바이러스는 항공은 물론이고, 선박편을 통해 국경을 넘나들기 때문이다. 제3국을 통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이 비상이다. 각국은 앞다퉈 중국발 항공편의 착륙을 금지하고,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중국 후베이성에서 들어오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지난 3일의 제한적 입국금지를 고수하고 있다. 제3국 감염자를 포함, 확진자가 모두 23명으로 늘어났지만 꿈쩍도 않는다.

6일 정부는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중앙사고수습본부 상황점검회의를 열었지만 추가 입국금지 확대가 아니라 "지역사회로의 확산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어 비상한 주의가 요구된다"며 감염 확산방지를 위한 국민협조를 요청하는 데 그쳤다. 정부가 '밖에서 막을 걸 안에서 막는' 갑갑한 대처로 일관하는 사이 우려하던 제3국 감염 공포는 현실화하고 있다. 일본, 싱가포르, 태국 등 중국이 아닌 제3국을 통한 감염자가 5명으로 늘어난 것이다.

우리가 중국 위주로 방역망을 '좁고 약하게' 구축한 사이 바이러스는 대륙을 넘어 아시아로 퍼져나가 버렸다. 여행업계에 따르면 하루평균 일본 1만5000여명, 태국 6000여명, 싱가포르 1000여명이 한국을 드나든다. 중국 입국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16번 환자에 대한 검사를 퇴짜놓은 광주 광산구 보건소의 기계적 업무처리를 탓하기에 앞서 중국 입국자로 범위를 제한한 정부의 '몸사리기' 정책이 문제다. 16번 환자의 확진이 늦어지면서 의료진과 환자 등 306명을 접촉하는 사달이 벌어졌다.

중국 외 제3국의 감염자가 속출하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추가 입국제한 조치 등 촘촘한 방역망 구축이 불가피하다. 지난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초래한 병원 내 감염의 악몽이 떠오른다.
'제2의 메르스 사태' 재현은 막아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과하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강력하고 발 빠른 선제적 조치를 시행하라"고 지시했다. 그동안 우리 방역당국은 과연 어떤 강력한 선제조치를 취했는지 따져묻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