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병상확보 비상, 지자체간 유기적 공유 필요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최대치를 넘나들며 쏟아져 나오고 있다. 병상도 거의 포화상태다. 지난 25일 양성판정을 받은 대구의 한 남성은 자택에서 입원을 기다리던 중 27일 상태가 악화돼 13번째 사망자가 됐다. 앞서 지난 21일 경북 청도 대남병원에 있던 확진자도 병실을 찾아 두 시간 부산까지 이동한 뒤 결국 사망했다. 이처럼 입원 대기 번호표를 손에 쥔 채 속속 유명을 달리할 정도로 '의료대란'은 '발등의 불'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이번 '코로나 사태'를 맞아 우리의 의료체계는 조기 진단·검사 역량이 세계적이란 평가를 받는 편이다. 하지만 그러면 뭐 하나. 우수한 의술을 갖고도 병상 부족으로 귀한 생명을 잃는다면 말이다. 며칠 사이 확진자가 폭증한 대구에서는 병상이 모자라 대기 중인 환자가 27일 기준으로 700명에 육박할 정도라고 한다. 대구시장이 다른 지자체장에게 SOS를 칠 만큼 사정은 절박하다. 하지만 지역사회 감염이 전국화하려는 터라 다른 지자체들도 여유 있는 형편은 아니다. 음압병상은 다 합쳐도 전국에서 1100개도 안 되기 때문이다.

'코로나와의 전쟁'에서 이기려면 최전방 격인 격리병원에 충분한 병상을 공급해야 한다. 이는 민간이 아닌 국가가 나서야 가능하다. 그런 맥락에서 민간 의료진이 대구·경북 등 환자가 급증하는 현장으로 달려가는 동안 정부가 제 역할을 했는지 의문이다. 물론 중국이 우한에서 그랬던 것처럼 대규모 병상을 뚝딱 짓는 일이 어디 쉬운 일인가. 그렇다면 정부는 이제라도 전국에 산재한 음압실을 유기적으로 공유하도록 지자체 간 조정 역할이라도 제대로 하기 바란다.


사태가 뜻밖에 장기화할 가능성도 걱정스럽다. 부처끼리 서로 미루거나 미적대다 초래한 '마스크 대란'에서 교훈을 얻었다면 가용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마스터플랜이 절실하다. 정부와 방역당국은 확진자 급증 시 증상의 경중에 따라 자가격리와 입원을 택일할 수 있도록 미리 정교한 컨틴전시플랜을 짜놓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