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업종불문 곤두박질, 기업 비명 안 들리나

코로나19 팬데믹 공포에 실물경제가 여지없이 추락하고 있다. 현장 곳곳에서 업종을 불문하고 기업들 비명이 쏟아진다. 이제껏 겪어보지 못한 불황에 한숨과 낙담이 가득하다. 산업계는 지금의 정부 대책으로 이 난국을 타개하긴 역부족이라고 호소하고 나섰다. 정부가 전방위로 눈을 돌려 업계를 옥죄던 족쇄들을 끊어내 달라고 외치고 있다. 더 과감한 조치로, 지금의 혼돈의 터널을 빠져나갈 수 있게 해달라는 요구는 이제 기업 생존과 직결된 문제다. 정부는 귀를 열어야 하고, 실천이 빨라야 모두가 산다.

팬데믹 쇼크는 이제 전 세계적 양상이다. 공급망 차질, 수요 감소, 교역제한 등으로 수출 타격은 눈앞에 왔다. 12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수출 중소기업 312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영향조사에 따르면 입국제한이 지속될 경우 기업들 80%가 6개월 이상 버티기 어렵다고 답했다. 더욱이 3개월도 못 버틸 것이라는 업체가 35%나 됐다. 산업계 피해업종은 전 분야를 망라한다. 항공업계는 대부분 하늘길이 끊겨 셧다운 위기에 놓여 있다. 한국항공협회는 올해 6월까지 국적항공사 매출 피해액을 최소 5조원으로 추산했다. 자동차업계도 비상이다. 지난달 국내 판매 급감에도 해외 공급으로 그나마 버텼지만 이제 답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정유화학업계는 유가 폭락까지 겹쳐 그야말로 망연자실하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정부를 향해 이날 발표한 8대 분야 30개 건의사항은 기업들의 절박함을 담은 최소한의 요청 서한이다. 상의는 대규모 추경 확대, 금리인하, 각종 규제혁신, 까다로운 금융지원 조건 완화 등을 요구했다. 이 중 특별연장근로 인가와 탄력근로제 확대, 유통업계 월 2회 의무휴업 규제완화 등은 시급한 조항이다. 임시공휴일 지정, 임시투자세액공제 제도 부활 등도 포함돼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다음주 경제장관들과 산업계 대표들을 다 함께 불러 민관 협력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저 공치사만 나누는 자리가 아니길 바란다. 기업과 경제를 살릴 특단의 대책을 서로 상의해야 한다. 더 이상 시간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