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獨, 2명까지만 모여라...더 강력한 접촉 제한 조치

메르켈 獨 총리, 확진자와 접촉, 자가 격리 들어가
이탈리아는 전국 산업시설, 모든 사무소 폐쇄

獨, 2명까지만 모여라...더 강력한 접촉 제한 조치
Only few people gather in front of the Brandenburg Gate on the nearly empty Pariser Platz in Berlin, Germany, Saturday, March 21, 2020. In order to slow down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the German government has considerably restricted public life and asked the citizens to stay at home. For some people the new COVID-19 coronavirus causes only mild or moderate symptoms, but for some it can cause severe illness including pneumonia. (AP Photo/Markus Schreiber) /뉴시스/AP /사진=

유럽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확산을 막기 위한 각국 정부의 더 강력한 조치가 이어지고 있다.

22일(현지시간) 독일 정부는 앞으로 최소 2주동안 가족끼리나 같은 거주건물내를 제외하고 2명 이상이 모이는 것까지 금지시켰다. 이날 메르켈 총리는 대국민 담화에서 “우리의 행동이 감염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모임 금지를 발표했으며 통행 금지는 반대한다고 밝혔다.

발표후 메르켈 총리는 곧바로 자가 격리에 들어갔다. BBC방송와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들은 메르켈 총리와 접촉한 의사가 지난 20일 폐렴구균 예방 접종을 받았으나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자 이에 자가 격리를 결정했으며 앞으로 수일에 걸쳐 검사를 여러 차례 받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번주에 독일 의회에 긴급 예산 1500억유로 승인을 요청할 것으로 전해졌다. 독일에서는 지금까지 코로나19로 55명이 사망했으며 확진자 1만8610명이 발생했다.

유럽 최대 피해국으로 코로나19 사망자가 세계에서 가장 많이 나온 이탈리아는 전국 대부분의 산업시설과 공공 및 민간 사무소에 폐쇄령을 내렸했다. 또 국내 여행을 사실상 금지시켰으며 자가용과 대중 교통수단까지 다른 지역으로 이동을 중단한 조치가 효과를 보면서 이날 하루 사망자 수가 651명으로 다소 감소세를 보였다. 그러나 총사망자는 5476명으로 집계됐다.

주세페 콘테 총리는 추가 폐쇄에 대해 “중대한 조치라는 것을 이해한다”며 그러나 “우리는 현재 2차세계 대전후 가장 어려운 사태를 맞고 있어 대안이 없다”라고 말했다.

그동안 이탈리아에서는 주로 북부 지방에서 코로나19가 집중적으로 발생했으나 이곳의 경제활동 중단 상태로 근로자 수천명이 남부의 고향으로 이동할 경우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것이 우려돼 빈센초 데루카 캄파니아 주지사는 콘테 총리에게 이동을 강력하게 막아줄 것을 요청했다.

영국인들이 계속해서 해안 지역 등으로 여행을 다니고 2m 이상 떨어지기를 지키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해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이를 무시할 경우 더 강력한 조치를 내놓을 것이라고 밝혀 이르면 23일 공원 폐쇄를 포함한 발표가 예상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지금까지 281명이 사망했으며 이중에는 18세도 있다고 스카이뉴스가 보도했다.

총리 대변인은 국민들에게 자택에 머무를 것을 촉구하고 별장이나 캠핑장, 야영장은 필수적인 여행에 포함되지 않는다며 불필요한 이동을 피할 것을 재차 강조했다.

지금까지 1720명이 사망하는 등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스페인은 국가 비상 사태를 다음달 11일까지 2주를 추가 연장했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하루전 “최악이 상황이 아직 남아있다”고 말한데 이어 “우리는 전쟁 중이다”라며 앞으로 30일간 외국인들이 공항이나 항만을 통해 입국하는 것을 제한할 것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은 유럽연합(EU)의 재정 및 통화부양책에도 대륙의 확진자와 사망자가 계속 늘고 있어 현지 의료체계가 감당하지 못할까 우려된다고 전했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