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두산重 살려달라"는 노조의 절절한 호소

두산중공업 노동조합이 '신한울 3·4호기 원전' 건설 재개를 호소하고 나섰다. 창원상공회의소와 함께 24일 '지역 일자리와 삶의 터전을 지켜달라'는 제하의 공동 호소문을 내면서다.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두산중공업이 확보했던 10조원 규모 일감이 사라지면서 인력 구조조정을 앞둔 상황에서 터져 나온 비명이다. 가뜩이나 코로나 사태로 수많은 근로자들이 생계위기를 맞고 있다. 정부가 이 절규에 응답할 때다.

두산중공업 경영난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석탄화력발전 등 세계 발전시장 침체에 따른 사업구조 개편을 소홀히 한 것도 한 요인이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문재인정부의 탈원전정책이 결정타였다. 노조 측이 "신한울 3·4호기 건설 중단으로 생산해놓은 제품의 가치는 고스란히 비용으로 전락했고, 사업장의 열기는 임직원들의 한숨으로 채워지고 있다"고 한 그대로다. 만일 두산중공업이 일부 휴업에 들어가면 다수 협력사들이 입지한 창원산단의 종사자들도 대거 실직위기에 내몰리게 된다.

더욱이 코로나 사태의 파장은 가히 전방위적이다. 중소기업은 물론 글로벌 기업도 생존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시스코를 글로벌 기업으로 키운 존 체임버스 전 회장이 "1년 정도 지나면 대기업 중 40%는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할 정도다. 중소기업·자영업 등 취약한 부문을 지원하는 건 당연하지만 전자, 발전, 철강 등 기간산업도 지켜내야 한다. 주력 산업이 무너지면 소상공인도 설 자리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원자로에서 세계적 기술력을 가진 두산중공업의 휴업을 막아야 할 이유다.

현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에도 수긍할 만한 대목은 있다. 글로벌 어젠다인 탄소 감축을 위해 석탄 화력발전 비중을 줄이는 건 불가피하다.
다만 과속 탈원전이 문제다. 문 대통령이 24일 '코로나 도산' 예방 차원에서 전기료 등 공과금 납부 유예나 면제 조치 등을 거론했지만 눈덩이처럼 불어난 한전의 적자가 걸림돌이다. 정부는 탈원전 정책을 지지하는 민주노총 산하에 있는 두산중공업 노조조차 탈원전 속도조절을 요구할 수밖에 없는 고충을 잘 헤아리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