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두산重 살리기, 원전 다시 짓는 게 답이다

극심한 경영난에 빠진 글로벌 원전기업 두산중공업이 긴급대출을 받게 된다. 회사 측은 26일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과 1조원 규모의 대출약정을 했다고 공시했다. 27일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거쳐 두 국책은행이 유동성 지원에 나서면 두산중공업은 발등의 불은 끌 수 있을 게다. 당장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 등을 피할 수 있어 다행이지만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두산중공업의 경영위기에 대한 근본적 해법이 될 수 없다는 게 큰 문제다.

만일 두산중공업이 일부 휴업에라도 들어가게 되면 큰일이다. 창원 지역 총생산의 15.4%를 차지하는 두산중공업이다. 가동이 중단되면 협력업체를 포함, 수많은 지역 근로자들이 실직 위기를 맞을 수밖에 없다. 2016년만 해도 매출액이 4조7000억원에 달했던 두산중공업은 지난 3년간 급속히 부실의 늪으로 빠져들었다. 올해 갚아야 할 빚만 해도 1조2000억원 규모다. 신한울 3·4호기를 포함한 신규 원전 6기 건설이 백지화되면서 7조~8조원의 매출이 사라진 결과다. 결국 탈원전 정책의 직격탄을 맞은 셈이다.

그래서 며칠 전 두산중공업 노조와 창원상공회의소가 공동호소문을 냈다. 최소한 '신한울 3·4호기 원전'이라도 건설을 재개해야 지역 일자리와 삶의 터전을 지킬 수 있다는 절박한 호소였다. 그러나 나랏돈 1조원을 긴급대출하겠다는 정부의 복안은 노조의 호소에 동문서답으로 반응한 꼴이다. 탈원전으로 중병을 앓고 있는 기업에 적확한 치료약은 주지 않고 응급수혈만 한다는 점에서다. 더군다나 코로나발 경제위기가 장기화하면 우리 주력산업 중 안심할 데가 어디 있겠나. 앞으로 돈 쓸 곳이 한두 군데도 아닌데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사태를 빚어선 곤란한 이유다.

정부는 두산중공업 경영난의 본질을 직시해야 한다. 석탄발전 비중 축소도 두산중공업 적자요인의 일부이긴 하다.
하지만 이는 탄소와 미세먼지 절감이라는 글로벌 어젠다에 동참하기 위해 감수해야 할 대목이다. 다만 탈원전 폭주를 멈추지 않는 한 세계 최고 수준의 원자로기술을 가진 두산중공업의 일자리는 사라지고, 적자는 계속 누적될 수밖에 없다. 오죽하면 두산중공업 노조가 "세계 곳곳에 세워질 50여개의 원전산업을 공략할 생태계 유지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호소했겠나. 문재인정부는 이제라도 과속 탈원전에 기반한, 잘못 설계한 에너지전환정책을 '원전 회귀'라는 세계적 현실에 맞게 수정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