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코로나 공조로 한일관계 개선 실마리 찾자

일본 외무성이 지난 19일 2020 외교청서에서 "한국은 일본에 중요한 이웃나라"로 표현했다. 외교청서는 일본의 각종 대내외적 외교현안에 대한 정책기조를 담은, 우리로 치면 외교백서와 같다. '중요한 이웃나라' 표현은 3년 만에 부활됐다. 초계기·레이더 갈등이 빚어졌던 2018년과 일본의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조치로 대립이 극에 달했던 지난해에는 이 표현이 빠졌다. 일단 위안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독도, 강제징용 등으로 갈등이 악화일로인 한·일 관계를 개선해보려는 신호로 읽힌다.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3·1절 기념사에서 "일본은 언제나 가까운 이웃"이라며 "미래지향적 협력 관계를 이루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했다. 일본 정부에 친일잔재 청산 등 과거사 해결을 강하게 압박하던 지난해보다 톤이 낮아졌다. 하지만 성급한 기대는 금물이다.

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해 12월 중국 칭다오에서 가졌던 한·일 정상회담 이후 조성된 양국 관계개선 모색의 연장선이라는 해석이 우리 외교가에서 나왔다. 특히 일본 정부의 부실한 코로나19 대응이 자국 실물경제 위기 심화에 이어 아베 내각 지지율 하락으로 직결되는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아베 내각엔 코로나19 사태 진정과 수습이 급선무일 게다. 기축통화국으로서 글로벌 리더 지위에서 장기불황의 늪에 빠져 허우적대다가 겨우 힘겹게 재기를 모색하고 있는 아베 내각엔 코로나19 대응이 또 하나의 시험대가 되고 있다.

이현출 건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3년 만에 '이웃나라' 표현의 부활은 위안부, 강제징용, 독도 문제 등 갈등의 뿌리가 깊은 외교적 난제보다는 코로나19 사태와 일본 실물경제 위기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고 진단했다.


전 세계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블랙홀에 빠져 있다. 아무리 'K방역'이 세계적 모범사례로 부각됐지만 여전히 일상과 실물경제 위기는 우리도, 일본도 예외가 아니다. 코로나19 대응 공조가 해묵은 한·일 갈등을 개선할 의미 있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과거사를 포함해 한·일 관계 복원은 코로나19 공조에서부터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