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트럼프 '한국 G7 초대'에 걸린 기대와 우려

미중 신냉전속 국익 챙길
선제적인 외교 포석 절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월 말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9월쯤으로 미루고, 한국도 초청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5월 30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에서 민간 유인우주선 발사를 지켜본 뒤 워싱턴행 전용기 '에어포스 원' 안에서 취재진에게 피력한 구상이었다. 그의 이런 제안은 미국의 대중국 견제가 경제와 외교·안보 등 전방위로 확산 중인 가운데 나와 주목된다. 한국의 G7 가세는 국격 상승을 뜻하기도 하지만, 미·중 갈등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소지도 있어 부담스럽기도 할 것이다.

현재 G7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등 7개국을 멤버로 두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같은 구성이 '구식(Outdated)'이라며 한국과 호주, 러시아, 인도를 회의에 초청하고 싶다는 의향을 내비친 것이다. 그의 의중이 G7을 넘어서는 새로운 선진국 클럽을 만들겠다는 건지, 아니면 일시적으로 확대된 정상회의를 개최하겠다는 뜻인지 아직 확실치 않다. 다만 어느 쪽이든 중국을 배제하려는 기류는 읽힌다. 백악관 관계자의 말을 인용,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관해 논의하기 위해' 다른 나라를 추가하고 싶어한다"고 한 로이터통신 보도가 그 방증이다.

이는 트럼트 정부가 G7으로 구축한 세계 질서를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재편하려는 신호로 봐야 한다. 이로써 한국은 머잖아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될 참이다. 가뜩이나 미국의 화웨이 조달망 차단과 남중국해 군사훈련 등으로 미·중이 맞부딪치는 상황이다. 문재인정부는 G7 관련 보도에 대해 "미국 측으로부터 사전 통보받지 않았다"고 한발을 뺐다. 하지만 미·중 신냉전의 물꼬가 이미 터진 터에 타조처럼 모래 속에 머리를 묻는다고 문제가 해결되진 않을 것이다.

물론 우리는 섣불리 미·중 어느 한쪽 편에 설 순 없는 처지다. 안보동맹인 미국과 최대 교역국인 중국 사이에서 '안미경중'(安美經中)의 기조를 한동안 이어갈 수밖에 없다. 하지만 고래싸움에 새우 등 터질 때까지 양쪽의 눈치만 보고 있을 것인가. 진퇴양난의 외통수에 몰리기 전에 선제적 외교적 포석이 절실하다.


아무리 국제정세가 복잡하게 꼬이더라도 우리의 국권이 훼손돼선 곤란하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때처럼 원칙 없이 중국 눈치를 살피고도 보복은 보복대로 당하는 전철을 밟아선 안 된다는 뜻이다. 미·중 간 균형외교를 추구하되 시장경제와 보편적 인권을 존중하는 미국과의 '가치동맹'은 일관되게 지켜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