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환경규제에 허리 휘는 제조업체들

국내 제조기업 4곳 중 3곳이 높은 환경규제 부담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기업 305개사를 대상으로 벌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19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기업 상당수가 정부의 강화된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투자비용에 힘겨워했다.

지금 제조업 투자 환경은 말이 아니다. 예기치 않은 전염병의 공습, 미·중 갈등에 따른 대외 불확실 리스크 같은 외부 악재에다 더 세진 내부 규제 족쇄까지 겹쳐 의욕이 생겨날 리 만무하다. 현대경제연구원의 통계를 보면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경제규모 대비 설비투자 비중은 해외 주요국과 비교해 감소폭이 훨씬 크다. 고정 설비투자비는 줄고 환경규제 대응 비용은 급격히 늘고 있으니 안타깝다.

눈덩이 환경규제 비용은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화평법) 등으로 예고됐던 바다. 화평법상 의무등록 물질이 기존보다 5배 이상 많아졌다. 규제 강도는 미국의 100배 수준이다. 여기 드는 비용으로 소규모 기업들은 허리가 휜다. 화평법에 따라 올해부터 기업들이 지켜야 할 유해물질 취급공장 안전기준 조항도 급격히 늘었다. 공장 문이 닫히지 않으려면 반드시 지켜야 한다.

기업의 환경규제 준수는 사회적 책임에 해당된다. 하지만 지금 부과된 규제 부담이 다른 나라 기준과 비교해서도 공정한 것인지 따져봐야 한다.
화관법·화평법은 기업 형편을 감안하지 않은 졸속 개정이라는 비판이 줄곧 있었다. 곳곳에 숨은 족쇄들이 풀려야 투자심리도 살고 신사업도 나올 수 있다. 더 늦기 전에 정부와 국회의 과감한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