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가습기 비극 등 더이상 없게…시민이 앞장서야" [fn이사람]

최준호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환경운동 시작했던 20년전 비해
환경의식 가진 시민 많이 늘어나
정부·기업 환경보호 동참 늘도록
감시·감독 역할 최선 다할것

"가습기 비극 등 더이상 없게…시민이 앞장서야" [fn이사람]
20년차 환경운동가 최준호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사진)은 낙관적이다. 기후위기 등 산적한 환경문제 가운데서도 환경을 고려하는 시민이 과거 어느 때보다 늘어났음을 실감하기 때문이다.

1993년 결성돼 27년째를 맞은 환경운동연합은 정부와 기업을 감시하는 한국의 대표적 환경단체다. 최근 국회가 세계에서 16번째로 '기후위기 비상대응 결의안'을 채택하고 국제사회에서 의무를 다하기로 결정한 배경엔 환경운동연합과 같은 시민단체의 역할이 컸다.

불과 20여년 전만 해도 국제협약을 모른 체하며 쓰레기를 해상에 무단투기하던 나라였다는 점을 떠올리면 격세지감마저 든다.

최 사무총장은 "이제 상황이 변했다"고 말한다. 환경을 고려하는 시민이 많아졌고, 정부와 국회의 자세도 발맞춰 변해가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이 환경문제를 대하는 태도도 확연히 달라졌다.

최 사무총장은 "과거엔 기업이 시민사회와 협력을 한다고 하면 돈만 내고 끝인 경우가 많았지만 이제는 실질적인 노력에 나서서 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제철업체만 하더라도 자기들이 얼마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지를 인지하고 감축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습기살균제 사건 이후엔 한 마트에서 자발적으로 친환경제품을 따로 모아놓은 매대를 마련하기도 했다"며 "환경을 고려하는 게 자신들에게도 이익이 된다는 사실을 알고 적극적으로 나서는 기업도 있다"고 말했다.

물론 기업의 선의에만 기댈 수는 없다. 자칫 방심하면 과거처럼 이익만 좇는 행태를 보이기도 한다. 최 사무총장은 "미세먼지 집진장치를 선도적으로 설치해서 환경부 상을 받은 기업이 있었는데 다음 해엔 산업부한테 에너지 절약을 잘했다고 상을 받더라"며 "전기사용이 줄었다는 건데 미세먼지 집진장치 가동을 안 해서 그렇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친환경 매대를 만든 마트도 가습기살균제 이슈가 잦아든 최근에 이르러서 매대를 축소했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최 사무총장은 "그나마 큰 기업은 감시하는 눈이 많아서 변화하고 있는데 작은 곳들은 감시·감독이 안 이뤄진다"며 "시민들이 앞장서서 정부와 기업을 감시해야 행정과 기업이 올바르게 갈 수 있다는 걸 몸으로 느낀다"고 강조했다.

환경운동가에게 커다란 실의를 안겼던 가습기살균제 참사 이후 환경운동연합은 괄목할 성취 하나를 이뤘다. 화학물질 안전성을 감시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 것이다.
각종 생활화학제품의 안전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투명한 화원'이 대표적 성과물이다.

최 사무총장은 "가습기살균제 참사 이후에 정부와 기업에 계속 질의하고 요구해서 정부가 가진 생활화학제품 안전성 정보보다도 더 많은 정보를 확보하게 됐다"며 "제품명만 알면 사이트에서 손쉽게 판매되는 제품이 안전한지 직접 확인할 수 있다"고 자부심을 보였다.

그는 이어 "꼼꼼하게 점검하고 확인을 해서 기업들이 안전에 대한 약속을 지키도록 할 것"이라며 "저희만이 아니라 시민들이 나서서 (기업을) 지켜보고 변화하게 만들어 나중엔 브랜드만 봐도 이 회사 물건은 믿고 살 수 있겠다고 생각할 수 있는 그런 업체가 나왔으면 한다"고 기대를 드러냈다.

pen@fnnews.com 김성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