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부산형 수소경제 목표를 해양수소로 설정하자"

부산연구원, 보고서 통해 제안

[파이낸셜뉴스] 부산형 수소경제의 목표를 해양수소로 설정하고 이를 선도하기 위한 콘트롤타워로 부산시 해양수소경제위원회를 설치하자는 의견이 제기됐다.

부산연구원은 2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부산형 수소경제 실현 방안'이라는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는 "수소경제가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부상하면서 지자체 간에 수소산업 육성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시도 수소분야 특화 전략 마련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최윤찬 선임연구위원은 "중장기적으로 타 시도와 특화된 부산시 고유의 정책목표가 필요하다"며 "부산형 수소경제 목표를 해양수소로 설정하자"고 제안했다. 수소분야에서 다른 지자체와 차별화를 위해 부산형 수소경제를 육상이 아닌 해양수소경제에 초점을 맞추자는 것. 해양수소경제는 해양에서 수소를 생산, 저장, 운송, 활용하는 사항과 관계되는 모든 경제활동을 말한다.

부산연구원이 부산지역 해양산업 관련 전문가 60명과 기업 60곳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전문가의 80%, 기업체의 54%가 부산형 수소에 대해 해양수소가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최 선임연구원은 이번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해양수소 실현을 위한 생산, 저장 및 운송, 해양산업 연계 확장 등의 분야를 대상으로 8가지 기본구상을 제시했다. 생산분야는 해양에너지-담수나 해수 수전해-압축이나 액화수소 생산, 해양에너지- 수소저장물질 생산- 암모니아 수소생산, 해양미생물을 이용한 수소생산이다. 저장 및 운송 분야는 LNG 벙커링과 연계한 수소 벙커링과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설과 내륙 공급용 수소 저장 및 공급 인프라로 수소철도, 수소배관 등을 포괄하는 인프라다.
해양산업 연계 확장 분야는 해양수소 기반 어촌뉴딜, 수소병원선 건조 및 운영, 해양수소 기반 다목적 해양과학 리조트 조성이다.

전문가와 기업들은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기본구상으로, 생산분야의 해양에너지-담수나 해수 수전해- 압축이나 액화수소 생산으로 꼽았다.

최 선임연구위원은 해양수소를 선도하기 위한 정책으로 시에 최소 팀 단위의 전담부서 설치와 중장기적으로 과 단위 설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컨트롤타워로 부산시 해양수소경제위원회 설치를 제안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