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코로나 회복력 수출이 1등, 고용이 꼴찌

[fn사설] 코로나 회복력 수출이 1등, 고용이 꼴찌
한국 경제가 코로나19에 따른 최대 충격에서 80%가량 회복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지만 고용부문 회복률은 2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직장 폐업이나 정리해고, 사업부진 등 비자발적 이유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사상 처음으로 200만명을 넘어서는 등 고용절벽 때문으로 보인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7일 현재의 경제상황이 코로나19 경제충격 이전 수준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를 나타내는 'HRI 코로나 위기극복지수'를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한국 경제 전체의 HRI 코로나 위기극복지수는 79.3이었다. 한국 경제 전체가 가장 큰 충격을 받은 시기를 지난해 5월로 봤을 때, 11월 기준으로 79.3%가 극복 또는 회복됐다는 의미다. 코로나19 이전의 경제상황으로 돌아가려면 나머지 20.7%의 생산력 하락을 만회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소비, 수출, 고용, 산업생산 등 4개 부문 지수를 보면 소비보다는 수출이, 산업생산에서는 서비스업보다 제조업이 회복세가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문제는 고용이다. 고용부문 위기극복지수는 25.5에 머물렀다. 코로나19 이후 몰아닥친 고용충격의 4분의 1 정도밖에 회복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고용지표가 경기에 후행하는 특성이 있지만 코로나19 고용충격이 도소매, 음식·숙박, 교육 서비스 등 노동집약적 산업에 집중돼 고용부문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더딘 탓이기도 하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일을 그만둔 지 1년 미만인 비자발적 실직자 수가 219만6000명에 달한 것이 결정적이다. 이는 2019년 147만5000명보다 48.9% 늘어났다.
외환위기 여파가 남아있던 2000년(186만명),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이 있던 2009년(178만9000명)까지 훌쩍 넘어선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경제 전반에 걸친 위기극복 추세가 이어지도록 고용부문 회복에 더욱 집중적인 지원을 쏟아야 한다.

공공일자리 확충과 민간일자리 감소 방지에 역점을 두고 재정의 조기 집행률을 높이는 것도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