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포스코 수장 선출에 왜 정치가 끼어드나

[fn사설] 포스코 수장 선출에 왜 정치가 끼어드나
최정우 포스코 회장을 겨냥한 정치권의 사퇴 압박이 갈수록 노골화하고 있다. 2018년 7월 취임한 최 회장의 연임 여부는 12일 주주총회에서 결정된다. /사진=뉴스1
최근 최정우 포스코 회장에 대한 여권의 사퇴 압박이 갈수록 노골화하고 있다. 최 회장 연임 여부는 오는 12일 주주총회에서 결정된다. 여권이 내세운 사퇴 압박 명분은 잇따른 산재사고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지난달 15일 "포스코에서 산재사고가 반복되는데도 안전조치는커녕 무책임한 태도가 계속되고 있는 데 대해 분노한다"며 최 회장을 정조준했다. 그러면서 포스코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을 향해 "스튜어드십코드(적극적 주주권 행사)를 제대로 시행하라"고 요구했다.

여당·노동단체는 국회에서 '최정우 회장 3년, 포스코가 위험하다'는 토론회까지 열었다. 토론회 제목에 특정기업 최고경영자(CEO) 이름을 보란듯이 박은 건 이례적인 일이다. 대놓고 으름장을 놓은 셈이다. 여당은 얼마전 국회에서 열린 산업재해 청문회장에 최 회장을 불러 융단폭격을 퍼부었다. 모두 최 회장 사퇴나 연임 반대가 목적이다.

CEO가 산재사고에 대한 무한책임을 지는 건 당연하다. 포스코에서는 최근 3년간 70건 이상 산재사고가 일어났다. 5년간 사망한 노동자도 42명에 달했다. 국회가 국민을 대신해 책임을 묻고 재발 방지책을 요구할 수 있다. CEO에게 귀책사유가 있다면 응당 책임을 물어야 한다. 하지만 국민이 공기업도 아닌 민간기업 CEO에게 사퇴를 압박하는 권한까지 정치권에 준 것은 아니다.

한때 포스코 경영진 선출에 정권이 노골적으로 끼어든 적이 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권력에 연줄을 댄 낙하산 논란이 어김없이 등장했다. 정권과 사이가 안 좋아 임기 도중 물러난 적도 있다. 하지만 이제 포스코는 그런 갈등을 거쳐 민간기업으로 우뚝 섰다. 1968년 4월 국영기업으로 출발했지만 올해로 민영화된 지 21년째다.

CEO가 책임이 있다면 주주들이 판단할 몫이다. 제3자가 이러쿵저러쿵 할 일이 아니다.
지난달 24일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4연임에 성공했다. 금융권도 공기업 못지않게 낙하산 논란이 많지만 결국 주주들은 김 회장 4연임을 추인했다. 정치권이 계속해서 최정우 회장 퇴임을 공개 압박한다면 이는 주주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