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英 G7, 선진국 기술동맹에 동참할 기회

[fn사설] 英 G7, 선진국 기술동맹에 동참할 기회
박경미 대변인이 9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 룸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G7정상회의 및 유럽 2개국 국빈 방문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영국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11일 출국한다. G7은 미국·영국·캐나다·프랑스·독일·이탈리아·일본이 회원국이다. 한국은 13일까지 열릴 이번 회의에 인도·호주·남아프리카공화국과 함께 초청을 받았다. 세계 10위의 경제규모에 따른 국제적 위상을 인정받은 징표다. 그러나 미·중 패권 다툼이 본격화한 시점이라 문 대통령의 어깨도 무거울 것이다.

각국 정상은 이번에 코로나19 백신 공급 및 경제협력 방안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방안 등을 논의한다. 다만 공식 의제보다 반중연대 강화라는 속뜻이 더 주목된다. 미국 조 바이든 정부가 9일 반도체·배터리·희토류·제약 등 4대 핵심분야 공급망 구축 보고서를 발표한 데서 읽히는 기류다. 이 중 제약을 제외한 나머지 분야에선 그간 중국이 세계시장의 '큰손'이었다. 이번에 미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 구축을 논의한다는 건 중국의 '기술굴기'를 저지하려는 포위전략인 셈이다. G7 정상들이 첨단기술 유출 방지에 합의할 것이라는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의 보도가 그 방증이다.

지금 미·중은 군사적 대치, 민주주의와 인권을 전선으로 한 '가치 전쟁'을 동시에 치르고 있다. 한국은 쉽지 않은 선택의 기로에 선 형국이다. 대중 의존도가 큰 처지라 자칫 위험요인이 될 수도 있어서다. 그래서 이번 회의의 비공식 의제인 대만·홍콩·신장웨이우얼 문제 등에 대해 굳이 명시적 입장을 표명해 중국을 자극할 까닭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 담글 순 없다.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핵심품목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참여하기로 사실상 합의했다. 이제 와서 중국의 눈치를 보느라 다시 태도를 바꾼다면 게도 놓치고 구럭도 잃는 격이다.

더욱이 백악관의 공급망 구축 보고서에서 한국이 74번이나 거론됐다.
긴 눈으로 보면 기회요인이 더 크다는 뜻이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삼성 등 4대 기업이 44조원 규모 대미투자를 약속했었다. 그 몇 배의 수확을 거두기 위해서도 이번 회의는 안보를 넘어 기술동맹으로 한·미 관계를 업그레이드할 기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