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자치경찰제 한 달…'치안 리빙랩'으로 언제나 시민 곁에" [인터뷰]

정용환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 초대 위원장
지자체·학계·지역주민과 함께
치안문제 찾고 개선안 마련
"자치경찰 하니 더 안전해졌다"
이런 평가 받는 게 우리의 목표

"자치경찰제 한 달…'치안 리빙랩'으로 언제나 시민 곁에" [인터뷰]
지방자치 부활 30년 만에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맡은 정용환 위원장은 현장 근무를 최우선 가치로 삼는 치안정책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부산시, 의회, 경찰서 그리고 시민단체(NGO)까지 안 가본 곳이 없어요. 앞으로도 자치경찰이 궁금한 어떤 곳이든 누구든 만나서 이야기할 겁니다."

경찰 역사 76년, 지방자치 부활 30년 만에 부산시 자치경찰제가 지난 7월 전면 시행된 후 1일로 한 달이 지났다.

부산형 자치경찰을 표방하는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맡은 정용환 위원장은 본지와 인터뷰에서 '현장 근무'를 최우선 가치로 삼고 발로 뛰는 치안정책을 펼치겠다고 다짐했다.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고 이를 시행하기 위한 새로운 조직이 출범하면 기존에 업무를 맡아왔던 부산경찰청과 부산시와의 업무분장에서 오는 혼선을 최소화하는 게 급선무다.

발로 뛴 현장 근무는 자치경찰제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초대 위원장으로서 그가 판단한 최선의 제도시책인 셈이다.

실제로 위원회는 출범 한 달도 안돼 시민을 대표하는 대의기관인 부산시의회를 찾아 2021년도 주요 업무보고를 한 데 이어 일선 현장에서 가장 가까이 시민을 만나는 각 경찰서를 찾아 경찰관들의 목소리를 귀담아 들었다. 지역사회의 변화를 이끄는 풀뿌리 시민단체도 예외가 될 수 없다. 그만큼 자치경찰제 시행 초기 급격한 변화보다는 점진적 제도 안착에 역점을 두고 업무를 추진해 나가고 있다는 게 정 위원장의 설명이다.

다음은 정 위원장과의 일문일답.

―자치경찰위원회를 소개해달라.

▲아직도 자치경찰제가 시행되고 무엇이 달라졌냐 묻는 일이 많다. 그럴 때마다 저는 일부러 약속을 잡고 찾아가 하나하나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우리 위원회는 부산경찰청이 수행하는 업무 중 생활안전, 여성·청소년, 교통 등에 대한 지휘감독을 맡고 있다. 아울러 자치경찰사무에 관한 목표 수립, 주요 정책, 자치경찰사무 담당 공무원의 임용, 지방행정과 치안행정의 업무 조정 등의 중요한 사무도 위원회에서 소관하고 있다.

―기존 국가경찰과 다른 점은.

▲기존 국가경찰제도하에서는 경찰청장이 모든 사무를 맡아왔다. 하지만 자치경찰제가 도입된 지금 국가사무는 기존과 같이 경찰청장이, 수사사무는 국가수사본부장이 맡는다. 이 중 자치경찰사무는 우리 위원회가 지휘감독하는 구조로 바꿨다. 특히 자치경찰사무는 대체로 우리 시민의 일상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는 범죄예방, 교통안전, 아동·여성·노인 등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활동이 포함된다. 또 많은 분들이 경찰 제복이나 계급이 바뀌냐고 묻는데 그건 아니다. 예전처럼 제복도 그대로 착용하고, 계급체계도 기존 국가경찰 체계를 사용한다. 월급도 국가에서 준다. 현재 부산의 경찰관 숫자는 9300여명이다. 이 중 자치경찰사무를 전적으로 담당하는 경찰관이 1400명 내외이며 국가·자치경찰 사무를 동시에 맡고 있는 지구대, 파출소 경찰관 3700여명까지 합치면 5100여명이다.

―올해 중점 현안은.

▲자치경찰제는 지역실정에 부합하는 맞춤형 치안시책 개발이 중요한 과제다. 부산자치경찰위원회는 어떤 정책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 고민하고 있고, 고심 끝에 나온 방법론이 '치안 리빙랩'이다. 경찰과 지자체, 학계, 지역주민이 함께 치안문제를 발굴하고 개선안과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부산 자치경찰의 대표 브랜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교통약자를 위한 보행자 중심 교통안전시설도 개선할 것이다. 올해 우선 지역 6개소에 '인공지능 보행신호 자동연장시스템'을 설치해 운영할 예정이다. 또 부산 16개 구군에는 아동학대 전담공무원 수가 부족한 실정이다. 가장 적은 곳은 2명에 불과하고 가장 많은 곳은 6명 수준이다. 일선에서 아동학대 신고가 들어오면 경찰관과 아동학대 전담공무원이 동행 출동해야 하지만 여러 이유로 업무부담이 컸다. 그래서 예산을 확충해 각 구군마다 1명씩 보조인력을 더 늘릴 계획이다. 이런 모든 정책 수립 과정은 시민의 참여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시민에게 부탁하고 싶은 것은.

▲자치경찰제 이전에는 중앙청장이 각 지방청장에게 지시를 하다보니 지역별 특성과 시민의 목소리를 세세히 반영하기가 어려웠다. 앞으로는 우리 위원회가 중심이 돼 시민과 소통하면서 시민에게 칭찬받을 만한 좋은 정책을 계속 개발해 나갈 것이다. 그런 틀 속에서 시민이 원하는 경찰활동이 중단 없이 펼친다면 시민도 호응해 줄 것이라 믿는다. 물론 처음 시행되는 제도인 만큼 시행착오가 있을 것이다.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경찰은 오로지 시민만 생각하고 있다. 제도가 잘 정착되면 나중엔 '자치경찰 하니까 더 안전해졌다, 믿음이 간다, 우리 경찰 같아서 좋다'와 같은 평가를 해주면 정말 기쁠 것 같다.

demiana@fnnews.com 정용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