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왕이 방한, 성숙한 한중 관계 물꼬 트이길

내년 양국 수교 30주년
남북 관계서 역할 기대

[fn사설] 왕이 방한, 성숙한 한중 관계 물꼬 트이길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주먹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15일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5개월 만에 한중 외교장관 회담을 가진 뒤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만났다. 문 대통령은 40여분간 왕 부장을 접견한 자리에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추진 과정에서 중국의 역할과 기여를 평가한다. 앞으로도 우리 정부는 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 함께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중국의 변함없는 지지를 바란다"고 말했다.

왕 부장은 이날 외교장관 회담이 끝난 뒤 취재진과 만나 미·중 갈등 상황에서 한국이 중국보다 미국으로 기울었다는 평가에 관한 질문에 "미국을 선호하든 중국을 선호하든 스스로에게 이 질문을 던져야 한다"고 답했다. 그는 "중국과 한국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이웃이자 떼려야 뗄 수 없는 동반자로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왕 부장은 미국의 대중 압박 구도에 한국이 가담하지 말 것을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기밀정보 공유 대상 국가를 기존 5개국(미국·캐나다·뉴질랜드·호주·영국)에서 한국, 일본까지 확대하는 문제와 중국 견제 4개국 협의체인 '쿼드'(미국·일본·호주·인도)에 한국이 참여하지 말 것 등을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 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초청해 남북 정상회담을 갖는 방안과 한중 정상회담 개최 시기와 방식도 테이블에 올랐다. 한중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문 대통령이 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한 뒤 시진핑 주석을 만나는 방안이 주로 논의됐다.

일본 도쿄에서 한미일 및 한미 북핵 협상 수석대표 협의가 열리는 와중에 왕 부장의 방한 일정이 잡힌 게 예사롭지 않다. 비록 의제는 북핵에 국한하지만 한국을 자신들의 인도·태평양 전략 영향권 안에 붙잡아 두려는 미국의 전략이 읽힌다. 북핵 협상을 고리 삼아 3국의 대중국 공조를 강화하려는 미국과 이를 견제하려는 중국의 외교가 한국과 일본에서 첨예하게 맞부딪쳤다.

내년은 한중 수교 30주년이다.
성숙한 한중관계의 미래를 열어가야 할 시점이다. 우리로서는 한반도가 미·중 갈등의 충돌 지점이 되는 상황은 최대한 피하고, 북핵 대응 공조를 소재로 미·중 협력의 명분과 실마리를 제공해 주는 외교력을 보여줘야 할 대목이다. 특히 교착 상태에 빠진 남북 및 북·미 대화 국면에서 중국의 역할에 기대를 걸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