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수도권 남은 중환자 병상 112개"…의료인력 없어 병상 확충도 못해

"수도권 남은 중환자 병상 112개"…의료인력 없어 병상 확충도 못해
24일 오전 코로나19 거점전담 병원인 경기도 평택시 박애병원 중환자실에서 의료진들이 코로나19 중증환자를 돌보고 있다. 2021.11.24/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수도권 남은 중환자 병상 112개"…의료인력 없어 병상 확충도 못해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이 4일 대전 중구 행복한 시니어스 요양병원을 방문해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2021.11.4/뉴스1 © News1 김기태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 이후 위중증 환자 규모가 정부 예측을 초월했다. 사상 처음 600명대에 진입했는데 신규 확진자 발생 추이가 4000~5000명대를 유지한다면 700명도 훌쩍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

병상가동 상황 역시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이러다 의료 대응체계가 붕괴하겠다는 우려와 일상회복을 잠시 멈추고 중환자 발생 억제에 도움될 '추가접종(부스터샷)'에 집중하자는 지적이 잇따른다.

◇중환자 85%가 고령층…수도권 중환자 병상 가동률 연일 80%

26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코로나19로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612명이다. 고령층 중심으로 돌파감염·집단감염이 늘어난 영향 탓에 위중증 환자 수는 지난 17일 522명으로 500명대에 접어든지 8일 만에 600명대로 또 치솟았다.

이날 위중증 환자 612명 가운데 60대 이상 고령층이 520명(85.0%)으로 가장 많다. 연령대별로 80세 이상 150명, 70대 216명, 60대 154명이다. 특히 22일 515명→23일 549명→24일 586명→25일 612명으로 사흘 연속 늘어난 것인데 확진자 발생 추이상 700명을 넘어설 가능성도 높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4일 "위중증 환자 증가세가 예측 범위를 넘어서고 있다. 종전 확진자 규모로 따지면 거의 5000명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위중증 환자가 많아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위중증 환자 증가와 맞물려 중환자 병상도 빠르게 채워지고 있다. 더욱이 모든 종류의 수도권 병상은 가동률이 80%를 넘나들어 우려를 자아낸다. 중수본은 24일 오후 5시 기준 수도권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83.9%(695개 중 583개 사용)라고 밝혔다.

지역별로 서울이 85.5%(345개 중 295개 사용), 경기 82.7%(271개 중 224개 사용), 인천 81%(79개 중 64개 사용)였다. 수도권에 남은 중환자 병상은 총 112개에 불과하다. 수도권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83.3%(324개 중 270개 사용)이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25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고령층의 백신 예방효과가 빨리 떨어졌다. 델타 변이 때문"이라며 "전문가와 정부도 돌파 감염된 위중증 환자가 이렇게 빨리 늘 것이라고 예상 못했다. 병상은 9~10월 중증화율을 기준으로 추산했으니 고갈 속도도 빨랐다"고 설명했다.

◇준중증병상 활용하며 버틴다…의료 인력·운영체계 확보에 한계

정부는 코로나19 중환자실을 현재보다 확충하기 쉽지 않다고 밝혔다. 손영래 반장은 25일 백브리핑에서 "현재 각 병원에서 감당할 중환자 체계의 최대까지 (병상을) 확보했다"며 "중환자실은 앞서 내린 행정명령 이상 확보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두 차례의 행정명령에 따라 현재 중환자 병상이 확충 중이다. 손 반장은 "병상, 장비 등 물리적인 확충은 어렵지 않지만, 전문 인력과 운영체계를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다른 중환자 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전국 1만여 개의 중환자 병상 가운데 10%를 할애해 코로나19 중환자 병상으로 활용하고 있다. 대신 코로나19 준중증환자 병상을 늘려 중환자 병상 부담을 덜겠다는 계획이다.

손 반장은 "중환자실에 호전된 환자나 중등도인 환자도 많다. 준중증 환자 병상이 많아지면 개별 의료기관에서 안정된 환자를 빼낼 수 있다. 이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백순영 가톨릭의대 명예교수는 "병상 확충만이 근본적 대책은 아니다. 의료진이 없다. 요양병원의 고령 환자가 전담병원으로의 이송을 수일간 기다리고 있다"며 "중환자 된 다음에 중환자실로 가서 치료받기 어렵다. 사망자가 늘까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김윤 서울의대 의료관리학 교실 교수는 최근 보건의료노조가 마련한 토론회에서 "환자를 보는 것은 의료진이다. 병원에 인력이 없어 환자를 받지 못하는 현상이 이어진다. 그런데도 정부는 대책이나 구체적인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라고 꼬집었다.

◇정부-전문가들 "유행 주범, 고령층 돌파감염"…일상회복 중단 두고 이견

정부는 상황이 나빠진 원인이 고령층의 돌파감염 때문이라며 우선 추가접종을 신속히 마치겠다고 강조했다. 일상회복 중단하자는 주장에 대해서는 "고령층의 돌파감염을 빨리 막아야 한다는 점은 확실하다"라며 다른 조치는 상황을 평가하며 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전문가들은 추가접종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확진자 유행 규모를 줄일 때까지 종전의 '거리 두기'처럼 사적 모임·영업시간 제한 등 방역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최근 들어 치명률도 올랐다. 일상회복 2단계 이행을 고민할 게 아니라 방역 강화를 검토해야 할 때다. 의료체계는 장기판의 말이 아니다. 상황을 오판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재갑 교수도 "적어도 수도권에는 일단 일상회복을 멈추는 작업을 빨리 시작해야 수도권의 병상 부족 상황이 1, 2주 있다가 조금 더 개선될 것"이라며 "의료체계가 붕괴돼 사망자가 급증하는 상황은 막아야 한다. 사실 의료체계 붕괴가 가까워져 오고 있다. 전체적인 확진자 규모와 중환자 규모를 낮춰야 이후에 병상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