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2030 우울·불안장애 늘었다..부정적 생각 심하면 진료 시급

2030 우울·불안장애 늘었다..부정적 생각 심하면 진료 시급
출처=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우울증으로 병원을 찾는 2030 환자가 늘었다. 2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7년에서 2021년 사이, 우울증 환자는 68만명에서 91만명으로 34% 증가했다. 이 중 2030 환자 수는 15만9000명에서 31만명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진경 교수는 "코로나19를 거쳐서 청년 백수 120만 시대에 진입하면서 젊은 우울증 환자가 급격히 늘었다면서 부정적인 생각이 들 경우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2017년부터 코로나19를 기점으로 20~30대 우울증 진단율이 증가했다. 이 결과는 코로나19로 삶의 패턴이 많이 바뀐 만큼 젊은 층이 생활 터전이나 방식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힘들어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우울장애를 진단할 때, 그것의 주된 증상 중 하나로 불안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불안장애를 진단하는 좀 더 전문적인 진단 기준도 있다. 물론 두 개가 서로 같이 있는 경우도 많고, 불안장애를 오랫동안 앓다 보면 우울장애가 합병증으로 오기도 한다. 우울장애와 불안장애를 구분하는 것은 의사의 몫이다. 증상만으로 진단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 그것이 미치는 환자의 상태나 상황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박 교수는 "우울장애나 불안장애는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돼 있다"며 "우울감은 정상적인 감정이지만 이와 함께 만사가 귀찮고, 초조하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증상이 있다면 의심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감정들은 우울장애의 기분 증상에 속한다. 우울장애의 진단 기준에서 이런 기분 증상은 3분의 1 정도 차지한다"고 덧붙였다.

우울감의 다른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가 생각 증상이다. 우울감이나 불안에 잠식돼, ‘나는 왜 살까’, ‘나는 가치가 없어‘라고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젊은 친구들이 이야기하는 자괴감이나, ’나 때문이야‘하는 생각도 여기에 속한다. 이 생각 증상이 심각해지면 ’죽는 게 나아‘, ’나만 없어지면 돼‘라고까지 확장된다.

마지막 증상은 신체 증상 또는 행동 증상으로 잠이 안 온다든지, 중간에 자주 깬다든지, 입맛이 뚝 떨어진다든지 하는 증상이 생긴다. 심각해지면 몸이 너무 무거워서 움직이기가 힘들다는 무기력한 증상도 이에 해당한다.

박 교수는 "우울감을 느끼며 불안하고 자꾸만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지지 않는다면 병원 진료가 필요하다"며 "무엇보다 이런 이유로 일상생활이 힘들거나 무기력해져서 직업, 학습 영역, 대인 관계에서 문제가 생긴다면 반드시 전문의를 만나볼 것을 권유한다"고 강조했다.

우울증 치료의 가장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치료는 약물치료이다. 약물치료는 가장 빠르고 효과적이며 완치를 위한 기초 발판의 역할을 한다.

아울러 박 교수는 "섣부르게 ’너만 힘든 것 아니야‘라거나 ’얼마나 힘든지 잘 안다‘는 뉘앙스의 말이나 충고는 지양해야 한다"며 "지인의 힘든 상황을 바라봐 주고, 그저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2030 우울·불안장애 늘었다..부정적 생각 심하면 진료 시급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진경 교수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