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가 25일부터 1박 2일간 경기도 이천 LG인화원에서 청년 AI 인재 양성을 위한 'LG AI 해커톤'을 개최했다. ‘LG AI 해커톤’에는 33개 팀, 104명의 청년들이 참가했다. 사진=뉴스1
한국은행 제공
[파이낸셜뉴스]노동시장에서 협동·협상·설득·공감력 등 이른바 '사회적 능력'을 갖춘 인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노동시장에서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 증가' 보고서에 따르면 2008∼2022년 14년 동안 사회적 기술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일자리의 비중은 49%에서 56%로 7%포인트(p) 늘었다.
사회적 기술은 협동·협상·설득력과 사회적 인지력(타인의 감정·반응 이해 능력) 등 다른 사람과 원활하게 일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수학적(인지적) 기술' 집중 일자리의 비중도 50%에서 55%로 커졌다. 다만 증가 폭(5%p)은 사회적 기술 집중 일자리보다 작았다.
아울러 사회적 능력에 대한 보상이 늘어나는 추세도 확인됐다.
약 1만 명의 청년 패널에 대한 추적 조사(2007∼2020년) 결과를 활용한 결과 사회적 능력이 1단위(1표준편차) 높은 인력의 임금은 2007∼2015년 평균보다 4.4% 많았다. 이후 2016~2020년에는 평균 5.9%를 웃돌았다.
반면 인지적 능력이 1단위 높은 인력의 경우, 같은 기간 평균 대비 초과 임금 수준이 10.9%에서 9.3%로 오히려 낮아졌다.
오삼일 한은 고용분석팀장은 "자동화 기술 발전으로 인간의 다양한 업무가 대체되고, 특히 인공지능(AI)은 인지적 업무까지 대신 할 수 있다"며 "그러나 사회적 능력은 상대적으로 자동화 기술이 대체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노동시장에서 더 중요성이 커진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교육 현장에서 어린 시절부터 인지적 능력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 소통·협업할 수 있는 사회적 능력을 기를 기회를 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