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尹, 빨라진 북한군 전선 배치에 대책 지시..선무공작부터 나서나

尹, 빨라진 북한군 전선 배치에 대책 지시..선무공작부터 나서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뉴스1
尹, 빨라진 북한군 전선 배치에 대책 지시..선무공작부터 나서나
북한군의 열병 행진 모습.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최전선인 쿠르스크에 북한군이 모여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와 실전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당초 예상보다 속도가 빠르다는 게 우리 정보당국의 분석이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대책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먼저 현지에서 파병 북한군 이탈을 유도하는 선무공작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2월 전 1만명 전선 배치 전망..파병 대가 협의도 본격화

국가정보원은 29일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고위급 군 장성을 포함한 병력이 전선으로 이동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앞서 국정원을 비롯해 미국 등 주요국 정보당국은 북한군 3000여명이 러시아로 파병됐다고 파악했다. 그러다 미 국방부가 북한군 1만여명이 이미 러시아에 도착해 전선 가까이 이동했다고 밝혔고, 국정원도 병력 이동 정황을 정보위에 보고한 것이다.

이에 전문가들 사이에선 당초 예상됐던 12월 전에 북한군이 전투에 투입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눈에 띄는 점은 북한군 장성이 파견됐다는 것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측근 중 한 명인 김영복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으로 파악된다. 이는 홍장원 국정원 1차장이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에 북한군 파병 정보 브리핑 이후 확인한 바다.

전문가들은 김영복을 러시아군 지휘부와 현지에서 협의하는 채널로 보고 있다. 파병된 북한군이 러시아군과 호흡을 맞춰 원활하게 운용되도록 하는 역할이라는 것이다.

국정원은 정보위에 북한군이 러시아 군사용어를 어려워해 소통 문제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김영복 파견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 전투 투입이 임박했다는 정황으로 읽힌다.

이런 가운데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이날 러시아를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관은 지난 6월 북러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전략적 대화’의 일환이라는 설명인데, 파병의 반대급부가 논의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경제적 지원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핵추진잠수함 등 첨단무기 기술이전 등이 예상된다.

국정원은 정보위에 최선희 방러를 두고 “고위급 채널을 통한 추가 파병과 반대급부 등 후속 협의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고, 통일부 당국자는 “러시아 파병 관련해 세부대응을 조율할 가능성이 있다. 1월에는 외무장관 초청이라고 밝혔는데 이번에는 그런 게 없다. 북한군 파병 상황이 빠르게 전개되는 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尹, 빨라진 북한군 전선 배치에 대책 지시..선무공작부터 나서나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29일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가정보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정원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스1

尹, 나토·유럽 공조 진력..무기지원 앞서 모니터링단 파견 검토

이처럼 북한군 파병 사태가 빠르게 진행되자 윤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대책 강구를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 제공을 넘어 파병까지 감행했다. 북러 불법 군사야합은 국제사회에 대한 중요한 안보 위협이면서 우리 안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엄중한 사안”이라며 “모든 가능성을 철저히 점검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윤 대통령은 국제사회와의 대응 공조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전날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유럽연합) 집행위원장과 연이어 통화해 대응 방안을 협의하면서다. 윤 대통령은 이들에게 북한군 전선 배치가 빨라지고 있다면서 대응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대책으로, 우리 정부로서는 우선 우크라 정부와의 협의를 거쳐 군과 국정원이 참여하는 모니터링단을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모니터링단은 전장에서 선전과 원조를 이용해 북한군 대규모 탈영을 유도하는 선무공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군 파병 자체를 와해하려는 시도이다.

이는 대통령실이 앞서 검토 가능성을 언급했던 방어용·공격용 무기 지원이 쉽지 않은 만큼 먼저 내놓는 조치로 보인다. 특히 공격용 무기 지원은 우크라 전쟁을 확전시킬 위험이 있어서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