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세계 최장 '모스크바~평양' 직행열차 5년만 재개..北, 美입국금지 해제엔 '손절'

북한, 러시아와 교통교류 가속...미국 입국금지 해제에는 '무관심'

세계 최장 '모스크바~평양' 직행열차 5년만 재개..北, 美입국금지 해제엔 '손절'
10일 러시아 철도청에 따르면 17일부터 모스크바와 평양을 오가는 직통열차가 운행을 시작한다. 19일부터는 평양과 하바롭스크 간 직통 열차도 서비스를 재개한다. 사진은 2023년 9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양에서 러시아행 전용 열차에 탑승해 손을 흔들고 있는 모습.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평양과 모스크바를 잇는 세계 최장 거리 직행 여객 열차 운행이 이달 중순부터 5년만에 재개된다. 두 도시간 철도 거리는 1만㎞로 운행에는 8일이 소요된다. 러시아와 북한은 지난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협정에 서명한 이후 군사 분야를 포함해 경제 협력을 강화해 왔다.

러시아 철도공사는 러시아와 북한이 2020년 이후 처음으로 모스크바와 북한 수도 평양을 잇는 직행 여객 열차 운행을 이달 중 재개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이 직행선 운행은 2020년 2월 코로나19 팬데믹 발발로 중단됐다. 러시아 철도공사는 이날 북한 철도부와 6월 17일부터 두 수도를 잇는 월 2회 정기 열차 운행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모스크바-평양 서비스의 경우 북한 여객 객차를 모스크바-블라디보스토크 정기 서비스에 연결한 후 다른 열차에 다시 연결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평양과 중국 북동부 국경에 인접한 러시아 도시 하바롭스크를 잇는 또 다른 열차 운행도 이틀 후 재개된다. 이들 서비스는 북한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철도성(KSR)이 운영한다.

북한이 이처럼 러시아와 인적 교통망 확장에 적극적인 반면 미국 입국에 대해선 무대응 의사를 보이고 있다.

미국이 최근 국가 안보를 이유로 이란 등 12개국 국민의 입국을 전면 금지했지만 대상국에 북한을 제외한 것을 두고 일각에서 북미대화의 문을 열어둔 미국의 유화적인 대북입장이 반영됐다는 해석이 나왔다.

북한은 이에 대해 "우리나라를 넣거나 말거나 우리의 관심사가 아니다"라는 입장을 내놨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제문제평론가 김명철의 입장문 '미국 입국 문제는 우리의 관심 사항이 아니다'를 통해 "현 미행정부가 당사자는 전혀 생각지도 바라지도 않는 미국입국을 허용한다고 하여 우리가 이를 그 무슨 '선사품'으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생각하였다면 오산이다"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이어 "순수 기술적 이유 때문인지 아니면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된 것인지는 미국만이 설명할 수 있는 일"이라면서 "설사 현 미행정부가 의도적으로 우리나라를 입국 금지 대상국 명단에 넣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이에 흥미를 느끼지 않으며 반색할 이유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 시기와 마찬가지로 앞으로도 미국인의 우리나라 입국을 환영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며 "우리는 그 누구의 희망적 관측이나 주관적 해석에 근거하여 미국의 행동을 평가하지 않을 것이며 더하지도 덜지도 않고 현실 그대로 그리고 자기의 자주적 판단에 의거하여 미국을 대할 것"이라고 그는 밝혔다.

미국은 지난 4일(현지시간) 국가 안보 및 공공 안전 우려를 이유로 19개국의 미국 입국을 전면 또는 부분 제한하는 포고령을 발표했다.
입국 금지국 적용이 예상됐던 북한과 러시아는 명단에서 제외됐다.

세계 최장 '모스크바~평양' 직행열차 5년만 재개..北, 美입국금지 해제엔 '손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019년 6월30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측으로 갔다 다시 남측으로 넘어오고 있다. 뉴시스



rainman@fnnews.com 김경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