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서울 종로에서 열린 박장현 천문연구원장 오찬 기자간담회에서 박 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천문연구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박장현 신임 천문연구원장이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기술로 우주망원경을 만들고자 한다"며 "향후 10년내 국내 독자 기술로 만든 우주 망원경을 발사해 산업화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박 원장은 지난 10일 서울 종로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임기내 주력하고자 하는 부분은 우리나라 우주망원경을 새로운 브랜드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라고 신임 원장으로서 천문연의 청사진을 전했다. 국내 천문학자들의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기술 비중이 70%인 우주망원경을 만들어 독자적으로 발사하고자 한다는 계획이다.
박 원장은 "5년내 국내 기술의 망원경 본체 제작을 위한 기반을 만들어 향후 10년내 발사까지 국내 독자적인 기술로 하고 싶다"며 "늦어도 내년 초까지 우추항공청과 협의해 우주망원경 개발 로드맵을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우주망원경 개발을 위한 국가 로드맵이 구축되면 초기 예산은 500억원에서 최대 800억원 규모로 예상한다는 설명이다.
자체 망원경 기술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미국이나 유럽 등이 보유하고 있다. 다만 각 기술 탐사 망원경의 경우 각국 별로 다양한 상태다.
박 원장은 "현재 확보한 국내 기술 기반으로 볼 때, 우리나라는 광학을 기반으로 한 망원경이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럴 경우 전세계적으로는 첫 광학망원경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주 분야는 현재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분야로 우리나라는 위주위협 핵심국가들로 분석되고 있는 중국과 북한, 러시아 등과 인접해 있어 우리의 우주 분야 연구는 '생존의 문제'"라며 "특히 이 같은 우주분야 개발을 위해 국가적인 연구개발(R&D)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지속성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산업화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 개발 우주부품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우리 나라 주도의 망원경 개발이 필요하고, 국내 중소기업들과도 민간 파트너로서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우주망원경 발사 기술을 보유하면 우주 산업화 기반도 구축될 것이라는 기대다.
올해 1월 취임한 박 원장은 연세대 천문학과 졸업 후 같은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2년 천문연 입사 후 우주천문연구부장과 우주위험감시센터장을 역임했다. 우주천문, 우주탑재체 개발, 우주위험 감시 등 우주항공청이 담당하고 있는 주요 임무와 정책분야에서 30여년 간 경험을 쌓아왔으며 임기는 3년이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