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항만·공항·철도 연계 물류체계 구축"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동북아 물류 신거점 조성
김율성 해양대 교수 제안.. 부산신항·김해공항 연계
교통망확충 등 세부전략 필수.. 항공배후부지에 기업 유치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유리

"항만·공항·철도 연계 물류체계 구축"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을 동북아 물류 신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해 항만·공항·철도가 효율적으로 연계된 복합물류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가장 먼저 부산 신항과 김해신공항 간 효율적 연계가 이뤄져야 한다는 제안이 나와 주목된다. 부산 신항만 전경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을 동북아 물류 신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해 항만.공항.철도가 효율적으로 연계된 복합물류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한국해양대 김율성 교수는 22일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부산 파크하얏트 호텔에서 개최하는 '복합물류체계 구축과 BJFEZ의 역할' 주제의 세미나에서 이같은 내용의 주제발표를 한다.

김 교수는 사전 배포한 발표문을 통해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의 물류비전으로 '항만.공항.철도가 연계된 글로벌 막힘없는(seamless) 물류체계 실현'을 제안했다.

김 교수는 "김해신공항과 부산신항만을 비롯해 철도.도로 등 트라이 포트(Tri-Port) 기능을 갖춘 글로벌 물류 거점도시 기반을 만들려면 부산 신항과 김해신공항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연계할 것인지를 최우선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복합물류체계를 구축하려면 24시간 운항 가능한 김해신공항 운영과 연계 교통망 확충, 대규모 공항물류단지 조성 등의 세부 추진전략이 뒤따라야 한다"면서 "특히 김해신공항과 항공 배후부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 글로벌 물류기업을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항만과 공항 중심의 복합물류체계 연계는 10년 이상의 장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단계별 로드맵이 필요하다"며 "항만과 공항운영 주체가 달라 이해관계 상충을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 플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투자자 입장에서 수익모델을 발견하고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관련 산업과 연계한 다양한 부가가치 비즈니스 모델도 제안했다.

김 교수는 "복합물류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해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유형화 하고 유형별로 투자기업들의 특징과 주요 성공요인 등을 분석해서 잠재기업 유치를 위한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부산항 신항의 물동량 증가와 김해신공항 확장계획, 제2 신항배후도로 개통 등 최근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미래 물류 비전을 제시하고 추진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마련됐다.

주제발표에 이어 송계의 동서대학교 국제물류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 부산발전연구원 허윤수 북극연구센터장, 경남발전연구원 박병주 경제산업 연구실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박성준 박사, 부산항만공사 강부원 국제물류사업단장의 토론도 진행된다.

진양현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장은 "물류 트라이 포트 연계구축을 위해 김해신공항과 배후부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할 필요성이 있다는 제안은 시의적절하며, 후속논의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며 "복합물류 체계 구축을 위한 여러 정책 제안을 바탕으로 국내 물류체계가 한단계 업그레이드 될 수 있도록 경제자유구역청의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