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AI 로봇과 일하는 시대…청년실업 등 정부 일자리 해법도 바뀌어야

정규직 등 공공·민간 채용 규모 확대만으론 일자리 변화 대응 불가

인공지능(AI) 로봇과 일하는 시대가 현실로 다가왔다. AI로봇이 인간을 대체할 것이란 전망 속에 전통산업과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이 핵심인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고용 없는 성장’이 본격화될 것이란 우려도 높다. 이와 관련, 산·관·학 일각에선 ‘일자리 창출’을 최대 국정과제로 내세운 정부가 자칫 정규직 전환과 공공·민간 채용규모 확대 등 양적 성과에만 매몰돼선 안 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노동의 유연성 및 다양성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AI로봇과 협업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데 더욱 주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자동화에 따른 실직자의 재취업을 지원하고, 신산업 분야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직업훈련을 온라인, 오프라인 영역에서 활발히 진행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AI 로봇과 일하는 시대…청년실업 등 정부 일자리 해법도 바뀌어야
현대중공업이 선보인 음료 제조 및 서빙 로봇 /사진=김미희 기자

■"AI로봇이 나를 대체할 것"..막연한 불안감 높아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6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4차 산업혁명과 노동의 미래’란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오늘날 국내외 기술혁신 속도를 고려할 때, 현재 초등학생들이 사회에 나와 갖게 될 일자리 중 70%는 현재 존재하지도 않는 새로운 일자리가 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AI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과기정통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김정원 부단장은 “국민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일자리가 사라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예측하면서 이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즉 AI 로봇과 함께 일하면서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미래형 인재를 키우기 위해선 우리 교육 분야의 전면 개편은 물론 현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재훈련 제도도 같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특성화 대학 및 학과 등을 통해 지능형 자동차와 융합임상·생명의료, 산업용 드론 등 분야별 고급인력을 키우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또 맞춤형 경력설계 지원 등 직장인들이 평생 직업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지원체계도 마련될 방침이다.

■"AI와 협업하라" 기업체도 임직원 디지털 역량 높여야
공공 프로젝트가 시행되기 전에 민간기업 역시 생존전략의 일환으로 사내 임직원 역량을 끌어올리는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한국뉴욕주립대 박문수 교수는 “전자, 자동차, 화학, 금속, 석유 등 5대 제조분야에서 지난 5년 간 자동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박 교수가 제시한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DB) 분석 결과, 2009년부터 2016년 까지 자동화 지수가 높은 전자 및 자동차업종의 근로자 수는 줄어들거나 정체되고 있다.
반면 생산인력 대비 경영·기술지원 종사자 비중은 2012년 17%에서 2016년 26%로 급격히 증가하면서 제조분야 일자리 구성도 바뀌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 박가열 박사도 “골드만삭스는 약 600여명의 주식중개인을 AI로 대체하는 등 이미 인공지능을 이용한 금융상품 거래가 일상화되고 있다”며 “국내 금융업 종사자 역시 해당 규모를 분석한 결과, 2013년 이후 증권 중개업 및 보험 영업직 종사자가 각각 3.7%, 3.5%씩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과기정통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최상운 과장은 “인공지능 등 자동화기술은 일자리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기술 개발·활용·유지보수·기반구축 등 다양한 분야의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한다”며 “미국 공군이 무인 정찰기를 도입한 결과, 조종사는 1명 감소했지만 수집한 영상을 분석하거나 무인기를 정비하는 지원인력은 300여명 가까이 늘어나는 효과를 거뒀다”고 강조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