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혁신성장 하겠다면 행동으로 보여라

金부총리에 힘 실어주고 규제프리존法 처리해야

문재인 대통령이 '혁신성장' 카드를 꺼내 들었다. 26일 국무회의에서 "혁신성장은 새 정부의 성장전략에서 소득주도 성장전략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소득주도 성장이 수요 측면에서 성장을 이끄는 전략이라면 공급 측면에서 성장을 이끄는 전략이 혁신성장"이라는 설명도 했다. 이어 혁신성장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집행전략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문재인정부는 지금까지 소득주도 성장의 '외바퀴'에 의존해 경제를 끌어왔다.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앞으로 소득주도 성장과 혁신성장이라는 '두바퀴'로 끌고 가겠다는 뜻이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같은 취지의 발언을 했다. 경제정책 기조가 변화하는 조짐으로 보인다.

이 같은 변화는 J노믹스(문 대통령의 경제정책)의 성공을 위해 긍정적인 신호다. 성장과 분배의 균형을 추구하겠다는 판단의 결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문재인정부는 지금까지 소득주도 성장이란 기치 아래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 제로 등 분배만 중시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양극화가 극심한 상황에서 분배 개선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성장 없는 분배 일변도의 정책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 소득주도 성장의 외바퀴로만 달리는 것은 위험하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혁신성장은 김 부총리의 지론이다. 문 대통령의 혁신성장 발언이 나오기까지는 김 부총리의 역할이 적지 않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여권 내부에서 김 부총리는 정권실세들 틈에 낀 전문경영인이다. 앞으로 혁신성장이 얼마나 힘을 받을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혁신성장, 더 나아가 J노믹스의 성패는 문 대통령이 김 부총리에게 얼마나 힘을 실어주느냐에 달려 있다.

문재인정부는 소득주도 성장과 일자리에 모든 것을 걸었지만 청년실업률은 더 나빠지고 있다. 이제라도 항로 수정을 한 것은 다행이다. 일자리는 분배가 아니라 성장을 통해서, 정부가 아니라 민간이 만들어낸다. 혁신성장의 핵심은 규제를 푸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은 전통산업에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접목, 신산업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앞으로 신산업에서 질 높은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중 삼중의 규제 그물망에 갇혀 있다.

규제 중에는 필요한 것도 있지만 상당 부분은 융복합을 특성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맞지 않는 것들이다. 진작에 없어졌어야 할 규제들이 이해집단 간 충돌이나 기득권에 집착한 주무부처의 반대로 살아남아 혁신성장을 막고 있다.
서비스발전기본법과 규제프리존법은 그런 좀비규제들을 없애기 위해 만든 법안들이다. 여당은 과거 야당 시절 제기했던 반대를 철회하고 이번 정기국회에서 두 법안을 반드시 처리해주기 바란다. 그것이 혁신성장의 첫 번째 과제다.